2권은 나에게 덜 와닿고 덜 재밌었다. 그래도 토론은 즐거웠다. 환님이 ˝내가 행복해지는데 왜 미움을 받지?˝라고 질문하셨는데, 요즘 나의 상황을 말씀드렸다. 나는 현실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하려고 하는데, 그걸 하기 싫어하는 사람은 나를 미워한다고. 근데 요즘 나의 질문이기도 한데, 사람들이 나를 좀 미워하면 안돼? 어떻게 모든 사람이 다 나를 좋아해? 이렇게 생각하는게 정말 엄청난 에고다. 그리고 어리석음이고. 미움받을만 하니까 미워하겠지.
오늘 TF팀 모였는데 다들 마음을 바꾸고 오니 나를 바라보는 눈빛의 매서움이 풀렸더라. 시간이 지나면 다 변한다. 좋았던 것도 나빠지고 나빴던 것도 싫어지고. 좋다고 좋아할 것도 나쁘다고 나쁠 것도 없다. 이게 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내가 삼촌의 과학책에서 읽고 불안한 동시에 자유로워졌던 문장에 따르면, 항상성은 완전한 평형이 아니다. 과학책에서는 우리 몸이 주변 환경과 최종적인 평형에 이르는 상태는 죽음이라고 했다. 따라서 평형은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필멸을 정의한다. - P102

두려움은 빛을 비추어야 할 대상이 아니다. 그 자체가 빛이며, 우리에게 함께 사는 더 나은 방법을 알려주고 심지어 혜택을 주기도 한다. 이것이 내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심어준 공포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이용할 수 있는 눈먼 특권으로보는 이유다. - P1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많이 줄은 책 욕심.
12월엔 진짜 딱 이 책들만 읽을 거다. 1월 초 시험엔 성과를 내야하지 읺겠냐고~~(사실 이미 공부도 12월로 미룬 상태;;;;))

1. 아들과 연인 1○, 2
=>12월 토론작이라서 안 읽을 수 없을 듯

2. 미움받을 용기2○
=>이것도 토론작;;;

3. 인간과 초인○
몇 번째 대출이냐;;;;

4. 종의 기원
몇줄씩이라도 꾸준히 읽자.

5. 허먼 멜빌
백경에 감동받았는데 나 단편은 진짜 못 읽는 몸이 되어 버렸나봐. 책장 참 안 넘어간다.

6. 서유기9○
이제 다 왔다. 올해 안에 10권까지 완독 기원!

7. 될 일은 된다.
현실 받아들임은 계속 되어야 하기에. 이 책만 읽음 거의 마이클 싱어 책 전작한 듯!!

8. 나라는 착각
조금씩이라도 읽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몽글몽글 2024-12-16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2월 16일 다 읽은 책○->총 5권
 

11월의 마지막 날이 토욜이라 너무나 좋다. 여유 있게 정리도 할 수 있고~~
아까 읽은 책은 정리해 두었고, 읽고 싶었으나 팍 쪼그라든 독서량에 다시 도서관으로 돌아간 아이들을 적어본다.

1. 생각 정리 스킬
교장샘이 보신다고 추천해 줘서 읽은 책인데 일단 나는 정리가 매우 안 되는 사람이고, 굳이 정리하고 싶지도 않은 사람이라 1/3쯤 읽은 거 같은데 더 스트레스만 받는 거 같아 결국은 다 읽지 못하였다.

2. 이야기는 오래 산다.
문화부 기자 30년 후 은퇴한 작가의 작가와 글 이야기다. 그의 삶을 리스펙트하며 읽어보고 싶었으나.. 죄송해요, 그 시간에 한 자라도 고전을 더 읽고 싶었어요.. 요즘 책에 대한 이야기는 크게 관심이 없는 듯 하다. 예전엔 책 읽고 쓴 책들 진짜 좋아했고, 거기 나온 모든 책을 다 읽겠노라 다짐하면서 읽곤 했는데..
변화를 잘 받아들여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짜 요즘 내가 고민(?)하며 깨닫고 있는 것들이 고스란히 담겨서 너무 놀랍다. 이렇게 글로 표현되어 있으니까 진짜 와 닿는다. 나는 기대감이라는 것 정도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말이다. 고통의 원인은 호불호. 그리고 내가 꿈꾸는 세상이 너무 자연스레 이미 다 있다는 것도 소름이다. 이것도 뿌리는 결국 호불호가.

=====(2024. 11. 24.)=======
정말 책 읽기에 게을렀던 11월. 그래도 토론 작품 외에 개인적인 책을 한 권 읽어냈네. 그것도 반납일이 다 되어서 부랴부랴. 아무튼. 현재에도 단 것과 자극적인 외식 음식을 먹고 싶어하는 나에게 마지막 밑줄긋기를 하나 더 선사했다.
이제 이렇게 살기만 하면 되는 거겠지? 솔직히 정확히 어떤 상태를 말하는 건지 도달해 보지 않아 모르겠지만 일단 모든 경험에 마음을 열고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올 때 그것을 기회로 여기고 흘려 보내는 건 실천해 볼 수 있을 거 같다. 사실 내일 출근하기도 너무 싫은데-할 일은 많은데 내가 딱히 또 도움되지도 않아서- 그것조차 티호불호. 내려놓고 흘려 보내야 할 것들. 파이팅!!

어떤 상황에서 특별히 기대하는 것이 없으면 바로 그 때 특별한 일이 일어난다. 그것은 당신을 정말 깊이 건드려 놓을 수 있다. 그것은 아름다운 노을일 수도, 뜻밖의 첫 키스일 수도, 아니면 어떤 반가운 깜짝쇼일 수도 있다. 그것은 당신을 매우 깊이 건드린다. 왜냐하면 당신의 마음속에그 사건에 관련된 삼스카라가 없기 때문이다. 당신은 초심으로 있다. - P119

 사실은 온 세상이 거대한 로르샤흐 검사장이다.  - P117

당신은 내부의 문제를 외부에다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 삶이 늘 그토록 두렵고, 아픈 곳을 두드려 맞는 것만 같은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사실은 삶이 당신의 아픈 곳을 때리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자신의 아픈 곳을 삶에다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  - P118

예컨대 비가 오게 만드는 현재의 비개인적인힘이 있다. 그리고 당신이 비를 좋아하지 않게 만드는 과거의 개인적인 힘이 있다. 당신은 방금 자신이 우주를 대적하도록 싸움을 붙인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질 것이다. 그럼에도 개인적인 마음은 그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정말로 당신은 우주가 당신이 원하는 대로 존재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P127

이제 우리는 두 번째의 사성제에 다다랐다. 고통의 원인은 욕망이다. 달리 말해서 고통의 원인은 호불호이다. 세상이 어떠하기를 원하고, 그렇지 않으면 성내는 것 말이다. - P143

이 삶에서 우리는 온갖 다양한 경험을 겪는다. 그것이 고통을 일으킬 일은 없다. 경험은 고통이 아니다. 그것은 경험이다. 하지만 그것이 어떠하기를 원한다고 정해 놓으면, 그리고 그것이 그렇게 되지 않으면 우리는 괴로워한다. 고통은 우리가 무엇을 원한다고 마음으로 정한 것과 제 앞에 펼쳐지고 있는 현실 사이의 괴리에 의해 일어난다. - P144

예전에 당신은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최우선으로 여겼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의 요구는 생리적인 것보다는 심리적인 것이다.
심리적인 요구는 사실 부자연스러운 것이다. 그것은 뭔가가 결핍되었거나 잘못되었음을 시사한다. 내면에서 온전함과 완전함을느끼고 있다면 심리적인 요구는 생기지 않는다. 심리적 요구는 장애물에서 생겨나온다. 에너지가 해방되고 나면 당신이 느끼는 것은 사랑과 기쁨과 열정뿐이다. - P3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