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읽는다. 다음 달 모임을 위해 열심히 읽어야 한다! 이렇게 메모로 남겨놓고!
<의식의 진화>

의식에 대해 제기되는 철학적 문제가 무엇이든, 현재 우리의 목적에서 의식이란, 실행의 결정권을 갖는 생존 기계가 그들의 궁극적주인인 유전자로부터 해방되는 진화의 정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뇌는 생존 기계의 일상생활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미래를 예측하고 그것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도 있다. 또 뇌는 유전자의 독재에 반항하는 힘까지 갖추고 있다. 가급적 많은 아이를 낳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인간은 이 점에서 대단히 특수한 경우에 속한다.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명상살인 3권 읽느라 지쳐버렸다. 이제 이런 스릴러에 투자할 마음이 싹 사라짐. 일단 반납.
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는 건지 못 알아봐서 아쉽. 근데 진짜 신기한게 이거 영화도 끝까지 못 봤는데, 책도 끝까지 못 읽음. 나랑 안 맞나봄.ㅋㅋㅋㅋㅋ

그리고 장독대 독서토론 뒷풀이에서였나 아니면 토론 중이었나 완님이 추천해 주신 책 엄청 명저라면서 비파와 뭐시깽이라고 얼핏 기억이 나는데 절판 되었고 중고는 6만원을 호가했던....
만안 도서관에 있길래 옳다커니 빌려서 읽으려했는데 첫장부터 메모에 시편 얘기리서 안 빌렸던 책 그것도 써놓으려고 했는데 도통 기억이 인나고 비파로 쳐봐도 나오지 않으니 무슨 조화인가?ㅠㅠㅠㅠㅠ
(결국 완님께 카톡 보냄;;;; 답 오면 좋겠다;;;))

다음날 답옴. <활과 리라>다!
리라를 비파라고 우겼으니.. 우하하하하하!!
근데 수정글이라 상품 넣기 안되겠징?
내 이럴 줄 알았다! 그냥 하나 따로 담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쨌든 혼자서(=토론 작품이 아님에도) 3권을 독파한 건 스스로도 좀 대견하다. 근데 그만큼 사실 책이 쉽고 재밌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쉽다와 재밌다 중 어디에 방점이 있냐하면 쉽다에 조금 더 있다. 사실 그냥 뼈대는 거의 똑같다. 서역으로 경전을 가지러 가는 삼장법사 무리(=삼장법사와 그의 제자 손오공, 저오능, 사오정, 그리고 원래 용이었던 백마)는 가는 길에 요망한 요괴들을 만나 시련을 겪게되고 그것을 여차저차하여 손오공의 기지 혹은 보살들의 도움으로 헤쳐 나간다.

3권의 백미는 삼장법사의 뻘짓이다. 저팔계의 이간질로 인해 열심히 봉사하던 손오공을 제자에서 쫓아내고 더욱 곤혹을 당하는 그런 스토리. 아니 저팔계야 질투 때문에 그런다지만 당나라 최고 승려인 삼장법사는 왤케 속이 터지는 건데? 내가 기대했던 삼장법사와는 너무 달라서 속상할 지경이다. 임튼 대책 없는 저팔계도 진짜 답이 없다.

뼈대 줄거리에서 3권은 벌써 손오공을 내쫓는 필살기를 하나 써버린 거 같다. 앞으로 7권동안 무슨 얘기를 더 지어낼 수 있을까? 궁금증에 4권으로 넘어갑니다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기로 돌린 번역본으로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빛나는 책이었다.
연인과 헤어진 모든 사람에게 완전 강강추!!
나에게도 너무나 큰 도움이 되었다!!

혼자가 아니다. 모든 사람이 느낄만한 감정. 모든 중독이 사실은 사랑에 대한 갈망이라는 것 등등
아주 깊이 새길만한 내용이 너무나 많았다. 읽는 내내 행복했음. 그리고 정말 많이 회복됐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소설을 처음 읽어봤다. 로쟈 선생님의 강의 소식을 접하고 한 권은 읽고 신청해야하지 않을까 싶어서 처음 고른 책, 첫 강의 때 하는 책이었다. 현실적 상황 때문에 강의를 신청하지는 못했지만, 뒤라스를 만난 건 정말 행운이었다. 프랑스 근대 소설의 문을 연 것이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저자, 근대의 문을 닫은 것이 뒤라스라는 설명을 본 거 같다. 당연히 잘못 되었을 수 있다. 나의 기억력은 믿을 게 못된다. 다시 확인할 정성도 없다;;;;;;;;
(확인했다. 마르셀은 20세기를 연 작가, 뒤라스는 20세기를 닫은 작가)

평온한 삶은 운수 좋은 날처럼 반어적으로 느껴졌다. 대체 몇 명이 죽어 나가는 건지... T..에 갔을 때도 기어코 한 명 더 죽이는 전개라니...

근데 이상한 힘이 있다. 사춘기 시절 신경숙의 책을 읽고 그의 문체대로 생각이 들었던 그런 일이 다시 벌어졌달까? 중간중간 좋은 문장 와닿는 문장 너무 많았는데 출퇴근용 도서여서 표시를 못한게 아쉽다. 다음 작품 태평양을 막는 제방은 잘 남겨 봐야지. 신선한 책 읽기의 체험을 주어 너무 좋았던 독서 경험이었다. 티엔은 또 어디로 가려는지.. 프랑수가 행복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