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자걸스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37
김혜정 지음 / 비룡소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중학교 3학년인 조카는 학원에 다니느라 밤 12시가 다되어야 집에 온단다. 반 아이들이 모두 그렇기 하기 때문에 그렇게 시키지 않으면 아이들을 따라잡을 수 없다고 사촌언니는 말한다. 이제 겨우 15년 정도 산 아이가 하루에 대부분을 학교와 학원에서 보내다니 얼마나 끔찍한 일일까. 하지만 이 일은 내 세대 대부분도 경험했고 내 전 세대도 경험했을 일이다.
이 책 <닌자걸스>는 학업에 대한 청소년들의 부담과 심화반이라는 학교 내에서의 차별, 그 속에서 피어나는 그들의 꿈에 대해 유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어렸을 때에 내가 읽은 청소년 소설들은 좀 우울한 내용이 많았다. <있잖아요. 비밀이에요>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스무 살까지만 살고 싶어요> <열리지  않는 문> 등 내가 고등학생이 되면 저런 일을 겪는 걸까 하고 생각한 적도 많았다. 하지만 나의 고등학교 생활은 앞서 말한 책들 보다는 <닌자걸스>에 가까웠다. 성적표와 대학에 대한 부담감은 있었지만 친구들과 함께 했기에 모든 일들이 재미있었다.

이름과는 영판 다른 외모지만 언젠가 꼭 연기자가 되는 꿈을 꾸는 은비, 꽃미남을 밝히고 작가가 꿈인 지형, 초딩이라는 별명을 가진 아담한 체구지만 말투만은 성인 못지않게 시니컬한 소울, 백치미를 자랑하는 혜지까지 <닌자걸스>는 개성 강한 네 명의 아이들이 이끌어 간다. 중간 중간 그 아이들의 생활을 어찌나 웃기게 표현했던지 깔깔거리며 읽었다. 
 

<닌자걸스>도 우리나라 청소년 소설답게 부모의 기대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등장한다. 하지만 그 이야기 뿐 아니라 등장인물의 성격과 꿈들을 골고루 무쳐서 우울한 이야기가 주가 되진 않는다. 오히려 아직 어린 아이들이 자신의 꿈과 재능을 깨닫고 그 꿈을 위해 나아가는 강한 모습을 보여 준다. 또 심화반인 ‘모란반’의 차별을 인식하고 ‘모란반’을 폐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눈물겹기까지 하다.  
 

우리 때도 그랬지만 공부만이 성공의 길이라는 인식이 아직까지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아이들이 백 명이 있다면 재능도 백가지가 있을 텐데 너무 한 가지에만 몰입하는 것이 아닐까. 언제쯤이면 학교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활동을 하고 재능을 발견하게 할 수 있을까.
하지만 지금 말은 이렇게  해도 내가 엄마가 되어서 내 아이에게 공부만 강요하는 엄마가 되는 건 아닐까 두렵기도 하다.

아직까지 길을 걷다가 같은 학교 후배들이 지나가면 꼭 내 친구 같은 기분이 든다. 그만큼 학창시절이 내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게 아닐까? 공부 뿐 아니라 다른 것들도 많이 배울 수 있었던 시기였으니 말이다. 자라나는 아이들이 좀 더 놀고 좀 더 많은 경험을 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때 정말 즐거웠다며 회상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어른이 되어서도 절대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만들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