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1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하얀거탑>의 명성에도 불구하고 난 아직 그 드라마를 보지 못하였다. 시간이 없었던 건 아닌데 다음에, 다음에 하다가 결국 지금까지 이른 것이다. 이번에 <하얀거탑>의 대본작가가 제중원을 소재로 한 소설을 낸다는 소식에 슬며시 미소가 지어졌다. 의학 드라마를 손대다 보니 그의 관심이 더 확장 되었구나 생각했기 때문이다. 거기다 곧 드라마로 만들어져 방영된다니, 그의 책을 손에 들면서 <제중원>이 유명해지기 전에 원작을 먼저 본다는 괜한 자부심으로 난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주위 사람들이 <하얀거탑>을 얘기할 때 합죽이가 되었던 날 회상하면서)

백정[白丁]이라는 신분은 조선시대 때 고기를 도살하거나 버드나무 가지로 바구니를 만드는 등 천한 일을 하는 사람이라 하여 멸시받았다. 대표적인 인물로 임꺽정이 있는데 어렸을 때 본 드라마에서 임꺽정의 울분을 생각하니 아직도 가슴이 아파 온다. 조선시대 때 백정은 머리도 옷도 보통 사람처럼 입을 수 없었고 예절 풍습도 남달라 그 신분을 드러내게 했다고 하니 사람으로서 참 치욕적인 삶을 살았다고 하겠다.

<제중원>의 주인공인 황정도 백정 출신이다. 황정의 모델은 실제인물인 박서양이라 하여 날 놀라게 했는데 엄격한 조선의 신분제도에서 어떻게 백정이 학교에 입학해 의사가 되었을까 하는 의문 때문이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박서양이 태어난 시기는 조선말 격변기였다. 양학이 들어오고 서양문물이 밀어 닥치면서 굳건했던 조선의 관습들이 흔들리고 있던 시기였다. 신분보다 능력이 점점 중요시 되던 시기, 이론보다 실용을 우선하여 나아가던 때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일 것이다.

대대로 백정일 을 해온 소근개(후에, 황정이 됨)가 어머니의 죽음을 계기로 의술에 관심을 갖고 죽음의 위기를 넘어 여러 가지 일들을 해결하면서 훌륭한 의사로 거듭난다는 것이 이야기의 큰 틀이다. 그 속엔 10여 년을 대립할 수밖에 없던 백도양과 황정이 흠모하는 유석란, 격동기의 조선의 정치상황까지 맞물리면서 독자들에게 많은 재미를 선사한다. 그리고 고종, 명성황후, 김옥균이나, 민영익, 선교사였던 알렌, 애비슨 등 우리나라 역사에 중요하게 등장하는 인물들도 함께 만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제중원>은 국사를 좋아하는 내게 다시 한 번 조선말의 흐름과 역사상황에 대해 짚어주어 흥미롭게 읽기도 했다.  

하지만 빠른 전개와 영웅스토리의 이야기가 큰 재미없이 전개된다는 것에 조금 실망을 했는데 요즘 사극에서 영웅스토리가 너무 전형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뺐다는 것에 점수를 더 주지만 황정이 걸어온 길이나 위기상황들이 어디서 많이 본 듯한 느낌을 주었다. 지금은 단면적으로 보아 더 그럴지도 모르겠다. 드라마로 만들어지고 인물들이 입체적이 되면 내 느낌이 달라질지도.

<허준>, <대장금>, <이제마>의 성공으로 사극에서도 의학이 많이 다뤄지고 있다. <제중원>도 실제 인물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다룬 만큼 큰 성공을 이루리라 생각한다. 책을 다 덮은 지금 어서 빨리 드라마로 만들어진 <제중원>을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