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오면서 어떤 상황을 맞닥뜨리게 됐을 때 갑자기 몸이 움직이지 않는다거나 두려웠던 경험이 있는가? 그것이 큰일이었든 작은 일이었든 우리는 끔찍했거나 창피했던 기억으로 인해 다시는 경험하고 싶지 않은 일들 하나씩은 갖고 있을 것이다. 이렇듯 우리 모두는 자신만의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라고도 불리는 트라우마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 전쟁이나 재난, 성폭행 등 일상을 벗어나는 범주의 큰 사건이 주는 경험인 ‘빅 트라우마’와 각 개인의 삶에서 자신감 혹은 자존감을 잃게 만드는 ‘스몰 트라우마’ 가 그것이다. 개인에게는 극적인 경험이었을 사건들을 ‘빅’과 ‘스몰’ 로 나눈 것은 일상에서 자주 벌어지는 일인가 아닌가에 대한 구분이라고 책은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두 경험 모두 그 사람에게는 스트레스가 되고 자신과 세상을 멀리하게 되거나 불안감, 초조함, 공포심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정신적 충격은 외상과는 달리 눈에 표출되지 않는 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데 주위 사람 뿐 아니라 자신마저 그 상처에 대해 눈치 채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상처는 아물지 못한 채 곪아 우리 삶을 천천히 잠식해 나가기도 한다.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은 영화에서 등장한 트라우마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영화를 보면서도 자칫 트라우마인지 모르고 지나간 영화도 있었는데 이 책은 적절한 사례와 함께 자세한 설명을 해주어서 트라우마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넓혀준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책은 심리학이라는 어찌 보면 어려운 학문을 다루고 있지만 <밀양>이나 <굿 윌 헌팅>,<포레스트 검프> 등 여러 친숙한 영화로 심리학에 대해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래서 인지 내가 영화를 보며 느꼈던 감정, 혹은 놓쳤던 장면들을 생각하며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세상에 이렇게 여러 종류의 트라우마가 있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했는데 어렸을 적 경험들을 되새겨 보니 나에게도 분명 트라우마가 존재했다. 예를 들어 난 개고기를 입에 대지 못한다. 개고기 반대론자들의 거창한 이론 때문이 아니라 어렸을 때 어른들이 개를 잡는 것을 목격한 이후부터 개고기를 먹지 못하게 됐다. (그 이전에는 잘 먹었다고 한다.) 너무나 잔인하고 폭력적이었던 그 장면은 이후 내 꿈에 종종 등장했고 ‘개고기’ 하면 20여년이 흐른 지금에도 생각나는 끔찍한 기억이다. 이런 것도 트라우마가 맞는 건가?

‘세월이 약이다’라는 말은 상처 입은 사람들을 위로 할 때 종종 하는 말이다. 하지만 세월로도 치유되지 않는 상처는 어떻게 될까? 상처 입은 사람들이 그 어떤 위로의 말도 거부한 채 자신만의 공간에 틀어박혀 있는 일도 있는데 그것은 아직 자신이 고통 받는 사건과 그로 인한 상처를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주위에서 아무리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을 뛰어넘으라고 주문해 봤자 안정을 찾지 못한 사람들에겐 고통스러울 뿐이라는 것이다. 진정으로 그에 대해 이해하고 포용하고 사랑하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다면 그를 고통의 수렁에서 하루 바삐 벗어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이 흥미로워서 그런지 24편의 영화들을 다시 찬찬히 볼 기회를 가졌으면 했다. 이미 본 영화도, 못 본 영화도 있었지만 책을 읽고 난 후의 영화감상은 좀 다를 것 같다. 또 내 자신의 상처 뿐 아닌 다른 사람의 상처에 대해서도 생각할 기회가 되었다. 그들에게 섣불리 다가갈 수 없겠지만 함께 좋은 방향으로 얼마든지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 치유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닌 함께 하는 것이니까 함께 어루만져 주며 나아간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