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1 - 선사 시대와 고조선 이현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 1
이현세 만화, 김미영 글, 한국역사연구회 감수 / 녹색지팡이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오늘 한국사 바로보기에 대해서 독후감을 써보겠습니다.  

나는 이 책의 줄거리를 말해보겠다. 이 책의 이야기는 한 백두산이라는 아이가 고서점에 들어가서 그 아이를 찾으러 까치,엄지가 책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서 이야기가 시작이 된다. 그 이야기에서 아직 문자가 없었던 시대였다. 그래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 수 없는 줄 알았지만 말이 통해서 정말로 신기했다.  

그리고 신석기 시대로 들어가게 되었다. 신석기 시대에서는 돌을 갈아서 물건을 만들어서 다른 동물들을 잡고 살았고 여자들은 농사를 잘 짓게 하기 위해서 씨를 심고 물을 잘 뿌려주는 일을 하였다. 그리고 때가 되자 까치와 엄지는 두산이를 찾기 위해서 길을 떠났다. 그러자 고조선의 시대로 가던 중 한 사람에게 두산이에 대한 소식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두산이가 있는 곳으로 가였는데, 그곳에는 움집을 짓고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 사람들은 아깝다고 하며 두산이라는 아이는 벌써 떠나버렸다고 이야기를 했다. 그래서 까치가 죄송하다면서 움집을 짓는 것을 도와준다고 하였다.(움집은 어떻게 생겼을까?)움집을 짓기 위해서는 땅을 파서 편평하게 다듬어야 한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열이 골고루 퍼지게 하기 위해서 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다시 두산이를 찾으러 길을 떠났다. 두산이가 살고 있는 집으로 가 보았으나 그곳에 노비로 일하고 있었는데 도망을 간 것 때문에 그곳에서 까치와 엄지가 다시 일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고조선의 새로운 왕이 생기자 그 나라에 있는 온갖 노비들이 모여 순장 당하고 있는 때에 두산이를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순장되게 전에 3명의 아이들은 책을 써서 탈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다음 고조선의 축제를 지낸다음 마지막 장을 읽어서 집에 돌아올 수 있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움집을 짓는 방법과 조상들의 움집의 과학성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나라 처음당시에 가난한 사람들의 처지가 얼마나 불쌍하였는지 알게 되었다. 나도 천민인데 그런 곳에 태어나지 않은 것 자체가 하느님께 감사드린다. 그럼 독후감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