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율이 번지는 곳 폴란드 In the Blue 4
백승선.변혜정 지음 / 쉼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변혜정님이 글을 쓰고 백승선님이 사진을 찍은 여행서 '번짐 시리즈'가 이번에 폴란드편으로 4번째에 이르렀다.

<행복이 번지는 곳 크로아티아>,<달콤함이 번지는 곳 벨기에>,<사랑이 번지는 곳 불가리아>에서처럼 역시 이번에도 유럽의 한 나라가 그 주인공이다.

흔히 유럽여행에서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나라인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등 한때, 혹은 여전히 그 영광이 유효한 주류국가가 아닌,  그러나, 숨어 있는 아름다움이나 그 가치는 어쩌면 더 훌륭하지도 모르는 나라들. 그들이 번짐시리즈의 대상국으로 뽑힌 것이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그렇다.

오줌누는 소년의 벨기에나 장미의 나라 불가리아, 이번의  폴란드는 그래도 귀에 익은 곳이었지만, 번짐시리즈로 처음 알게 된 크로아티아라는 나라는 내게는 책속의 모습만으로도 경이롭고 가슴 벅찬 설렘으로 두근거리게 하는 한번쯤은 꼭 가보고 싶은 환상의 나라로 각인되어 버렸다.

 

폴란드라는 나라의 이름은 내게 퀴리부인으로 먼저 떠오르지만, <선율이 번지는 곳 폴란드>라는 제목은 대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쇼팽을 연상시킨다.

과연 책장을 넘기니 쇼팽의 모습이 멋지게 반겨 준다.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 바르와 샤바의 전설이 있는 도시. 인어공주는 덴마아크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양손에 방패와 칼을 들고 있는 모습이 무척이나 사실적인 인어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 인어가 수호신인 바르샤바라는 도시는 멋진  잠코비 광장이 있는 폴란드의 수도다. 시민들의 만남의 장소이자 바르샤바의 여행이 시작되는 곳, 잠코비 광장. 광장이라는 문화는 한 도시의 공간으로써 꼭 필요한 곳. 우리와 비슷한 역사를 가진 폴란드는 비록 우리나라보다 국민소득은 훨씬 못 미치는 나라이지만,  서울은 이제서야 광화문 광장을 갖게 되었지만(이제라도 갖게 되서 얼마나 다행인지!!!), 이미 멋진 광장 문화를 가졌다는 것만으로도 폴란드라는 나라에 무한한 애정과 관심이 생긴다. '리넥'이라는 불리는 중앙광장이 폴란드는 어느 도시에나 있고, 그 광장에서 거리의 예술가들은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기타선율을 고르기도 한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를 멋지게 재건해낸 폴란드 국민들, 그들의 역사를 보며, 자연스럽게 '한강의 기적'을 떠올린다.

 

폴란드는 아이스크림의 나라다. '로디 예덴(아이스크림 주세요)', 이 말은 폴란드 여행을 행복하게 해 줄 한 마디의 말.

쇼팽박물관을 보면서, 도시 곳곳에서 동상으로, 그림으로, 포스터로, 쇼팽을 기리는 폴란드를 보면서  그들이 쇼팽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 수 있었다. 왜 우리는 이런 박물관을 가질 수 없는가..안타까운 아쉬움이 함께 한다.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가 태어난 도시 토룬. 이 도시 이름은 왠지 바순, 호른, 튜바 등의 악기 이름이 연상되는 독특한 느낌이 있다. 선율의 나라 폴란드여서인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토룬은 고딕양식부터 르네상스에 이르는 고풍스러운 건물이 무척이나 아름다운 도시이다.

특히, 토룬은 한강과 같은 폴란드의 젖줄인 비스와 강이 흐르는 곳이다. 바르샤바에서 토룬까지 세 시간에 걸쳐서 가는 기차여정은 활자만으로도 충분히 떠나고 싶게 하는 분위기가 흐른다. 토룬의 올드타운 구시청사 앞에는 바이올린을 켜는 소년 동상이 세워져 있다. 개구리떼와 관련된 전설이 있는 곳. 이 또한 선율의 나라답다고 느낀 것이 나만은 아닐 것이다.

건물벽에 붙어 있는 오래된 벽등, 도시와 오래 함께 해온 다양한 동상들, 벽화, 폴란드라는 나라가 정답게 말을 걸어오는 것만 같은 느낌.그 느낌은 낯설지 않고 따스하다.

여행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는 기쁨은 빼놓을 수 없는 것. 진저 브레드는 폴란드를 대표하는 음식. 이에 상응하는 우리의 음식은 '인절미'정도로 해둘까?

 

도시의 곳곳에 난쟁이들이 숨어 있는 브로츠와프. 50cm 크기의 난쟁이 160여개가 브로츠와프 구시가에 여기저기서 숨어 있다가 지나는 사람들을 반겨준다고 한다. 마스코드가 있는 도시라니 마치 동화 속 같이 않은가. 이 도시에 가면 걸리버가 되는 느낌일까. 백설공주가 되는 기분일까.

다양한 포즈와 표정으로 독자를 반기는 난쟁이들을 하나하나 짚어보고 있자니 꼭 한번은 그 곳으로 날아가 160명의 그 친구들을 만나고 싶다는 생각이 절로 스친다.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며 다리에 자물쇠를 채운다는 '툼스키 다리'. 세상 어느 곳을 가도 우리네 인간살이가 기대하고 꿈꾸는 것은 비슷하다는 것을 본다.

 

500년 동안 폴란드 왕이 거처했다는 바벨성이 있는 도시 크라쿠프, 바벨성은 궁전과 대성당과 박물관이 있는 일종의 작은 마을이다. 이 곳에서는 폴란드 최대의 크기를 자랑하는 지그문트 종이 있는 탑을 꼭 만나고 가야 한다. 그 종을 왼손으로 만지면 다시 돌아온다는 재밌는 전설이 있단다. 모든 사물에 의미를 담는 것, 또한 세계인의 공통된 심성인가 부다. 무심한 하나의 물체도 그 안에 인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면 마치 심장이 있어 펄떡거리며 뛰는 것처럼 살아있는 생명체로 우리들 마음에 부활하기 마련이다.

 

아픔을 품은 슬픔의 장소, 아우슈비츠, 200만 명이 목숨을 잃은 그 곳의 수용소를 보며, 일본의 731부대가 떠올랐던 것은 동병상련의 아픔을 가진 민족으로서 결코 잊을 수 없는 역사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다시는 지구 어느 곳에서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

행복, 달콤, 사랑이 번지는 곳을 지나서 선율이 흐르느 나라 폴란드는 마지막 여행지 아우슈비츠를 통해 아픔과 슬픔이 있어 오늘의 행복이 더 소중함을 알게 해준다.

서로 사랑하기에도 부족하기만한 시간들. 산을 좋아하는 사람치고 악한 사람은 없다는 말이 있다. 아름다운 자연을 가까이 하면서 심성이 나쁠 수는 없다는 것을 은유하는 말.이렇게 네 번에 걸쳐 번짐시리즈를 만나면서 문득 드는 생각이 있으니 여행하는 사람들은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아름다운 것만 찾아내는 보석같은 눈을 가졌으니 말이다. 예로부터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보여지는 풍광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아름다운 것은 이전의 번짐시리즈의 나라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내가 주변의 지인들에게 이 책을 적극 권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4권까지 만나 본 번짐시리즈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을 알게 되는 즐거움도 크지만, 책장에 나란히 꽂아두고 보니 마치 화첩이라도 된 양, 사진집이라도 보는 양 마음이 뿌듯하다. 크로아티아, 벨기에, 볼리비아, 폴란드.....이어지는 바통의 번짐시리즈 주인공은 과연 어느 곳일지, 내 책장에 꽂힐 사진집은 무엇이 선택될 지 궁금증과 함께 기대가 무척이나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