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풍경 - 개정판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일본의 지진과 해일, 그리고 원전사태를 보면서 또한 이어지는 일본의 방사능 대책을 보면서 우리나라의 현실을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다.

열정이 넘치는 우리민족은 그야말로 재앙수준의 고통을 당한 선린우방(?)을 돕고자 팔을 걷어부치지만,  일본은 그 와중에도 변함없이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응큼한 속내를 드러내는데 전혀 주저함이 없었다. 하물며 방사능을 바다에 배출하면서도 가장 가까운 나라인 우리나라에는 일말의 협의도 없이 강대국 미국에게만 사전협의를 한 나라이다.

역사적으로 인정이 많은 나라여서인가, 아니면 단군시조의 홍익인간 사상을 내재화해서인가, 그것도 아니면 정말 냄비근성이 가득한 사대주의로 뭉친 민족성을 가진 나라여서인가. 많은 생각들이 교차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땅에서 태어난 한민족이라는 변하지 않은 사실만이 남았을 뿐이었다.

그리고 또 나는 내 민족을 너무도 뜨겁게 사랑하고 내 자신이 그 민족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조정래 작가는 그 누구보다 우리 민족을 사랑하는 작가이다. 가슴 가득 터져오르는 민족과 나라에 대한 열정을 오롯히 글로써 풀어내시는 작가.

대하소설 <태백산맥>,<아리랑>,<한강>은 너무나도 위대한 작품들이지만, 최근에 잇따라 출간되는 <불놀이>,<대장경>,<상실의 풍경>의 작가의 초기 장,중,단편들 또한 가슴을 울리는 매력적인 작품들이었다.

<상실의 풍경>에는 40년 작가생활의 포문을 열게 했던 저자의 데뷔작 '누명'을 비롯하여 '선생님 기행','20년을 비가 내리는 땅','빙판','어떤 전설','이런 식이더이다','청산댁','거부 반응','상실의 풍경','타이거 메이저'등 총 10개의 작품이 묶여져 있다.

거개가 1970년 초반의 작품들인데, 특히 데뷔작 '누명'과 '타이거 메이져'는 미군과 함께 생활하는 카투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미국에 종속된 이 나라의 현실을 꼬집고 있어 인상적이다. 1980년대 중,후반에 대학을 다닌 나에게는 가장 인상적인 사건이 바로 '서울대 총학생회장 미문화원 방화사건'이었다. 그리고 그 당시 시위현장마다 불렸던 노래는 '제국의 발톱이 이 강토, 이 산하를 할퀴고 간 상처에 성조기만 나부껴 민족의 생존이 핵폭풍 전야에 섰다. 이 땅의 양심들아, 어깨걸고 나가자. '로 시작되는 [반전반핵가]였다. 비장하고 가슴먹먹하게 주먹을 내지르며 불렀던 이 노래가 한 글자도 틀리지 않은 채 책을 읽으면서 절로 입술사이로 흘러나왔다. 작금의 현실에도 이 얼마나 유효한 노래인가.

조정래님은 '20년을 비가 내리는 땅'을 쓰면서 20년 후에는 우리 민족의 숙원인 통일이 이루어지게 되리라 기대했다고 한다. 그러나, 40년이 흘러도주변 강대국들의 이해논리 사이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통일의 길은 요원하기만 할 뿐이다. 뿐인가. 어쩌면 한반도의 반토막뿐인 땅덩어리로 영원히 자리잡을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마저 드는 시점이다.

따라서 저자는 <상실의 풍경>에 실린 작품들이 비록 불행한 일이지만, 그만큼 생명성이 연장된다고 말하고 있다.

언뜻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상실의 풍경>속의 이야기들이 지나간 과거 속의 것들로만 느껴지는 내용이지만, 슬픈 역사의 빗줄기가 오늘도 우리 등뒤로 여전히 내리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자 한다면 조정래님의 작품은 이 땅의 청춘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