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객의 맛있는 인생 - 소소한 맛을 따라 세상을 유랑하는
김용철 글 사진 / 청림출판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가까운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맛집에 대한 내용이 화제로 떠오른 적이 있었다.
그 자리에 함께 했던 친구들은 그 동안 딱히 맛집을 찾아다닌다던가, 나름 미식에 대한 기준이 확고했다던가 하는 치들도 아니었건만,
화제가 이상하게 그렇게 흐른 것이다.
내심 나는 다양한 직업군의 친구들이 모였기에 숨겨진 맛집에 대해서 알게 되겠구나, 기대를 했었는데..
한 친구의 호텔음식에 대한 얘기를 시작하자 마자, L호텔이 낫다거니, S호텔이 더 맛있다거니 하면서 서로 음식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보다는 자신들이 가봤던 혹은 누리는 호텔이라는 문화에 대한 것을 자랑하기에 급급하는 대화가 되고 말았다.
아뿔싸..아쉽게도 맛집에 대한 담론은 결국 돈자랑으로 귀결되고 말았고, 그 자리는 이내 씁쓸한 뒷맛을 남기고 파장되어 버렸다.
요리책은 다양한 형태로, 일테면 장소에 적합한 혹은 재료별로 중점을 두는 책들을 여러 권 만나봤었다. 주부라면 요리책에 관심을 가지지 않기란 좋아하는 요리를 눈앞에 두고서 외면하기 어려운 것만큼이나 쉽지 않은 일이기에 필요에 의해서 한권 정도는 누구나 들춰보기 마련이다.
얼마 전 네이버 블로거로 유명한 황교익님의 <미각의 제국>이라는 요리 관련 에세이집을 만나봤었다.
황교익님은 요리보다는 요리가 되기 전 식재료의 대한 심도깊은 다채로운 이야기를 그 책에 담아냈었는데, 우리나라 요리에 대한 역사와 식재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새로히 다지는 계기가 되어주었었다.
이번에는 맛객 김용철님(이분 또한 다음블로거로 유명하시다)의 요리에세이는 굳이 황교익님의 책과 비교하자면, 원론적인 담론보다는 요리와 관련지어지는 세상살이의 속내에 대한 이야기를 맛을 찾아나서는 발길따라 담아내고 있어 사람내음이 더 진하다는 점이 다른 거 같다.
먹을 것이 부족했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공유한 저자에 발길을 따라 가다 보면, 맛을 찾아나서는 길이 곧 추억여행의 길과 만나게 되고, 우리가 기억하는 맛은 곧 추억이 맛이며, 맛을 즐기고자 하는 삶의 지향점은 이내 소중한 추억을 잊지 않고자 하는 마음과 같음을 깨닫게 된다. 하나의 맛에는 지난 세월이 묻어 있으며, 그 세월을 함께 한 가족, 친구, 이웃의 이야기가 담겨있기에 우리는 그 맛을 기억하고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맛객의 발자취는 바로 우리에게 그러한 사실을 이야기해주며, 그 내용은 잔잔하게 가슴을 울린다.
그의 발길은, 사람사는 맛이 있는, 우리네 맛이 있는, 그리움의 맛이 있는, 별미, 진미가 있는, 자연의 맛이 있는, 세계인의 맛이 있는 곳을 향한다. 그의 발길을 함께 하다 보면, 우리에게 음식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하는 마음이 절로 든다.

음식에도 정형화된 궁합론이 있지만, 저자는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시도는 맛에 대한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고 이야기한다. 흔히 거론되는 별미나 누구에게나 공인도 맛, 혹은 손가락에 꼽혀지는 환상의 조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화려하고 진귀한 맛보다 자기만의 맛을 찾아내는 것, 바로 그것이 음식이 우리에게 주는 진정한 행복이라고 역설한다. 심히 공감이 되는 부분이다.
 
저자의 여행의 양은 인생의 양과 비례한다고 이 책에서 이야기한다.
그의 말을 조금 인용해 보자면, 다양한 맛의 여행은 이 또한 인생의 양과 비례하는 것이 아닐까.
깊어가는 가을날, 삶이 담긴 요리를 하는 한갓진 시골 구석의 식당 한켠( 이 책에 소개된 곳, 그 어디라도)에서 인생의 맛을 느껴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