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섭의 길
소지섭 글.사진 / 살림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는 '소용섭'이라는 오래된 친구가 있다. 말수가 없으면서도 진중한 맛이 있는, 그리고 친구간의 의리가 매우 두터웠던 친구.

어느날 소지섭이라는 배우를 보았다. 이 배우를 보면서 나는 가운데 글자 하나만 다른 그 친구를 떠올렸다. 눈매가 닮았던가. 말없는 모습이 비슷했나..하여간 나는 소지섭이라는 배우를 그다지 멋지게 느끼진 않았지만 친구를 떠오르게 하는 모습이 있어 정겹게 느꼈던 거 같다.

<소지섭의 길>이라는 사진에세이가 나왔다는 기사를 보고 왠지 마음이 끌렸다. 유명인이 사진집을 낸 것이 어디 한,둘이던가.

전문가가 아닌, 좀 유명하다 싶으면 너도나도 들고 나오는 사진집은 이내 식상해졌지만, <소지섭의 길>은 왠지 외면할 수가 없었다.

아마도 이 책이 출간되기 얼마 전에 보았던 그의 모습이 가슴에 각인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절친이었던 동료연기자의 발인식에서 보여줬던 그의 모습은 가십거리로 넘쳐나는 인터넷신문의 헤드라인에서도 유독 그 진정성이 가슴아프게 내게도 전달되었었고, 나 또한 그 배우의 죽음이 너무도 가슴아팠었다.

아마 그래서였던 거 같다. 소지섭이라는 배우에 대해서 알고 싶다는 마음이 든 것은.

한 사람에 대한 관심은 어떤 한 순간의 느낌이나 경험으로 갑자기 증폭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받아 본 책이 초판3쇄에 해당하는 것을 보면, 그의 이번 사진에세이 집이 얼마나 큰 인기인지 미루어 짐작해 볼 수가 있겠다.

그를 사랑하는 대중들의 기대가 그만큼 큰 탓이 아니겠는가.

사진작업을 위해서 강원도 깊은 곳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된 곳을 여행하고, 그 여행길에서 소지섭은 지나온 길과 앞으로 가야 할 길에 대한 단상을 풀어놓고 있다. 그 길에서 맛보았던, 혹은 맛보아야 할 '휴식과 여행, 자유, 꿈, 상처 그리고 치유, 청춘.열정, 기억, 남기고 싶은 것, 우리 것, 내것, 화해,사랑'등에 관한 그 모든 것을.

각 소주제별로 초대한 게스트들과의 대화와 그 모습이 담긴 사진들.

특히나 군산분계선 안에서 촬영한 타이거JK와의 사진들은 너무도 근사하고 멋지다. 자신의 일에 열정적인 사나이들의 멋이 그대로 묻어나는 느낌이다. 아티스트 두식앤띨띨 커플의 모습도 좋았고, 대암산 용늪에서의 시사만화가 박재동씨와 화보같은 사진도 좋다.

이 외에도 자기만의 길을 가고 있는 감성마을 촌장 이외수님, 포도농사를 짓는 사진작가 이응종님, 우리것을 사랑하시는 최명욱 디자이너님, 20세의 나이에 새박사인 정다미님과의 대화를 통해 소지섭은 자신의 길에 대해서 얘기한다.

 

쉽게 가보지 못하는 곳들...그리고 쉽게 만나지 못하는 게스트들....

약간의 의도된 연출이 엿보이나 쉽게 읽힐 만큼 자연스럽게 페이지는 넘어간다.

 

이 책을 읽던 즈음, 그에 관한 신문기사를 접했다. 그의 절친인 배우 송승헌은 그 기사에서 소간지를 무뚝뚝하고 재미없는 사람이라 평하며 여동생이 만일에 결혼한다고 하면 그 결혼을 반대할 것이라는 인터뷰 내용이었다. 덧붙여 소지섭보다 자신이 더 잘생기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는 그의 말에 슬며시 웃음이 나왔다.

송승헌의 말이 아니더라도 소지섭이라는 사람이 재미있고 수다스런 사람이 아닌 진중하고 의리있는 그리고 속정이 깊은 사람일 거라는 느낌은 우리가 쉽게 받을 수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자신의 삶과 자신의 일을 어떤 자세로, 어떤 마음가짐으로 대하는 지를 알게 되었지만, 그리고 기존의 그에 대한 인상이 과히 틀리지 않았다는 것도 알게 되었지만, 좀 더 내밀한 그의 음성을 듣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그의 웅얼거림, 단상, 느낌 등을 좀 더 다양한 형태로 만날 수 있었다면 좋았지 않았겠나 하는 마음이 크지만, 소간지임을 입증하는 멋진 그의 모습들로 위로해 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