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 동화집 1 안데르센 동화집 1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지음, 빌헬름 페데르센 외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시공주니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도 동화, 하면 제일 먼저 머리를 스치는 것은 바로 헨델과 그레텔에 나오는 초콜렛과 과자로 만들어진 집이다.

그 집을 마녀가 지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도 마녀가 주는 공포보다는 과자집이 주는 환상과 달콤함에 더 매혹됐었다.

영화보기를 즐겨한다. 내가 좋아하는 장르는 서사성이 가득하거나, 현실적인 감각이 살아 있는 영화다.

미래의 세계를 그린 것이나, 공상과학스토리는 전혀 흥미롭지가 않다.

 

허나, 어린 시절 만났었던 동화 속 이야기는 말 그대로 상상속의 세상이지만, 어른이 되어 만나는 공상속의 세상과는 분명히 다르게 다가온다. 어린시절에는 더 알고 싶고, 더 가고 싶은 미지의 세상이 많아 동화가 그 욕망을 달래주었지만, 이미 환상이나 상상의 세계를 잃어버린 나는 너무도 어설프게 어린시절의 꿈을 잃어버린 삭막한 어른이 되어버린 것이다.

모처럼 새롭게 완역본으로 출간된 안데르센 동화집을 읽으면서 나는 10살 즈음의 꿈많던 소녀시절로 돌아가는 체험을 했다.

시골초등학교 작고 낡은 도서실 귀퉁이에서 해가 지는 줄도 모르고 읽었었던 엄지아가씨, 인어공주, 황제의 새옷, 행복의 덧신, 꿋꿋한 주석병정, 들판의 백조, 하늘을 나는 가방(나는 엄지공주, 인어공주, 벌거벗은 임금님, 하늘을 나는 덧신, 외다리 주석 병정, 백조왕자와 공주, 하늘을 나는 가방으로 읽었다)은 신기하게도 10대 이후에는 만나보지 못했음에도 제목만 대해도 또렷이 줄거리가 기억이 남과 동시에 그 당시에 가슴 벅차게 느꼈었던 그 환상의 세계를 고대로 다시 맛보는 신기한 시간이었다.

아이였던 시절, 엄지공주 친구가 한명 있었으면 했고, 인어공주가 물거품이 되어 하늘로 올라갈 때 사랑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가슴아프게 눈물흘렸던 기억, 덧신과 가방이 있다면 먼 다른나라까지 여행을 할 수 있을 텐데...학교도 덧신만 신으면 걸어서 갈 필요가 없을 텐데..했던 기억들...백조왕자중 막내왕자의 팔 하나가 사람의 팔이 되지 못한 이후를 궁금해 했던 기억 등...참 신기할 정도로 그때의 기억이 스캔을 하듯 고대로 눈앞에 펼쳐졌다.

<안데르센 동화집 1>에는 없지만, 안데르센의 대표 동화에는 '미운 오리 새끼'가 있다. 못생긴 오리가 형제들과는 다름 모습때문에  외로움을 느끼다가 나중에 아름다운 백조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하늘 높이 훨훨 날아가는 이야기는 어린시절 그다지 예쁘지 않았던 나에게 위로와 꿈과 희망을 주었었다.

바로 그거다. 동화는 어린이에게 위로가 되어주고, 꿈과 희망을 품게 해주는 그야말로 다정한 친구같은 존재이다.

당시 안데르센이 동화를 발표했을 때, 계몽적, 교훈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분위기속에서 환상적 묘사에 치중한 그의 동화는 그다지 큰 호응을 받지는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내 기발한 내용과 독특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그의 창작 동화는 많은 인기를 얻게 되었고, 이제는 세대와 국가를 뛰어넘어 전 세계 모든 이들에게 '동화의 왕'으로 사랑받고 있다.

전설이나 민담, 설화 등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이야기는 많다. 아이들이 꼭 착하고 모범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은 바로 그 생각 자체가 아이들을 작은 실수 하나로도  죄의식에 시달리게 할 수도 있다. 아이 또한 어른의 축소판으로 희노애락의 감정을 느낄 줄 아는 하나의 인격체라고 볼 때, 안데르센의 창작 동화는 아이들의 순수한 세상을 수놓기에 맞춤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다른 무엇보다는 이 책에서 처음 읽게 된 '낙원의 뜰'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안데르센이 어린시절에 무척 즐겁게 들었던 옛날이야기를개작한 것이라고 하는데, 동서남북바람형제와 기독교의 에덴동산을 형상화한 낙원의 뜰은 절묘하게 어우러져 새로운 창작 동화를 대하는 것처럼 신선했다.

시중에는 안데르센의 동화가 다양하게 각색이 되어 출판되어 있다. 이미 읽었던 작품이더라도 새롭게 완역된 이 책을 만난다면 아마도 읽는 맛이 다를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동화에 관심이 있고, 또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이 책으로 다시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