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의 유혹 - 열혈 여행자 12인의 짜릿한 가출 일기
김진아 외 글 사진 / 좋은생각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열혈 여행자의 12인의 짜릿한 가출 일기-

 

참, 매혹적인 글귀다.

올 여름 들어 여행서들을 꽤나 많이 읽었다. 걷는 여행기, 캠핑기, 일본여행, 동유럽여행, 배낭여행, 등 개성적인 주제와 내용으로 나를 유혹했던 여행이야기들.

이번에는 한,두명도 아닌 무려 12명의 경험을 담아낸 다양한 세계 여행기다. 소개글만 봐도 가슴이 설렐 정도로 기대가 된다.

열혈 여행자라는 단순한 설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12명의 여행자들은 그야말로 여행에 목숨 거는, 여행이 곧 생활이고 삶 자체로 느껴지는 사람들이다. 방송작가, 샐러리맨, 북칼럼리스트, 저술업자, 신문기자, 잡지사 편집장, 연구원, 싱어송라이터, 뮤지션등 그들이 생업으로 삼고 있는 혹은 여행자라는 이름을 갖기 전에 세상속에서 불렸던 그들의 직업은 이렇게 다양했다.

지리멸렬한 일상을 벗어던지지 못한 채 자유로운 여행가의 꿈은 그대로 꿈으로만 남겨둔 채 하루하루 쳇바퀴도는 삶을 딛고 살아가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너무도 부러워하는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유혹적일 수 밖에 없는 그들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는?

그 이야기가 바로 <여행자의 유혹> 한 권에 담겨 있다.

그러나, 우선 먼저 12명의 유혹의 손길을 감지하기에는 얇은 책 한권으로는 너무 약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나의 주제를 두고 각자의 꼭지를 12명이 번갈하 가며 채우고 있는데, 우선 할당된 페이지의 량이 너무도 적다. 간접여행이라도 여행의 묘미를 제대로 느끼고 싶은데, 저자의 시선을 따라서 같이 여행지의 한 공간에 서고 싶지만, 스케치하듯이 지나가는 그들의 시선만으로는 깊이 빠져들기에는 아쉬움이 따른다.

또한, 한나라를 집중공략하는 것이 아닌 여러 나라에서 겪었던 각자의 추억들을 그들만의 언어로 다루고 있기에 비록 상상속이지만 저자를 따라서 여행지를 훑고 싶은데 그 맥이 자꾸만 끊기게 되어 여행기를 읽는 느낌보다는 그야말로 열혈여행자들의  추억에세이로 더 다가온다.

그래도 열혈여행자라는 이름이 무색지 않게 그들의 여행기는 곳곳에서 독자를 유혹한다.

그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남극에서 펭귄이 사는 아프리카까지. 기차로 사막을 지나는 여행자들.

오로지 10달러짜리 랍스터를 먹기 위해 칠레를 길게 여행하는 그들. 해질 녘 바오밥나무를 만나는 여행자.한여름의 크리스마스축제를 즐기는 그들.

 

여행은 사람을 순수하게 그러나 강하게 만든다-서양 속담-

 

언젠가부터 해질녘 어스름한 시간대를 '개와 늑대 사이의 시간'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는데, 원래 이 말은 해가 저물 무렵, 프랑스 사람들이 희미한 어둠 속에서 개와 늑대를 구분할 수 없다 하여 그렇게 이름붙였다고 이 책에서 소개해놓고 있다.

우리나라 단편소설 제목으로 <개의 늑대의 시간>이라는 제목을 붙인 작가도 있는 것으로 안다.

맨 처음 이 용어를 접했을 때, 그 유래를 알지 못했던 나는 개는 규범, 가정, 울타리, 이성등을 상징한다고 생각했고, 늑대는 자유로움, 방황, 야성, 본능,등을 상징한다고 생각하여 해가 지는 그 무렵에는 일테면 이성과 야성이 교차되는 시간쯤이라고 내 마음대로 그렇게 정의해 버렸었다. 그런 경험들이 있지 않은가. 어스름하게 해가 질 때 쯤이면 왠지 낯선 곳으로 떠나고 싶은 욕망이 스멀스멀 올라오던 기억. 있던 자리가 낯설게 다가오기도 하며, 역으로 밥짓는 냄새가 구수한 마을이 그리워지기도 하는 여행자의 기분이 되는 느낌.

이제 그 말의 유래를 알았지만, 난 내 마음대로 정의했던 그 의미가 더 마음에 든다.

우리 민족의 핏속에는 유목민의 피가 분명히 섞여 있을 터.

<여행자의 유혹>은 바로 그 유목민의 피를 잠깐이나마 소용돌이치게 하는 힘이 있다.

단,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을 때 명심해야 할 것 하나!

바로 '개와 늑대 사이의 시간'에 이 책을 읽기 바란다. 12인이 건네주는 유혹의 의미가 그대로 느껴질 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