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하루에 관한 거의 모든 심리학 - 정신과 의사에게 말하기엔 너무 사소한 일상심리 이야기
선안남 지음 / 웅진윙스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여자의 하루에 관한 사소한 일상 심리 이야기를 다룬 <여자의 하루에 관한 거의 모든 심리학>은 제목에서부터 여자라면 흥미를 느끼기에 충분하다.

사회속에서 여자라는 젠더로 살아오면서 고민하고 생각하고 또 성찰해 보았을 일상속의 나의 모습, 혹은 동성의 이웃들, 친구들의 심리를 꿰뚫어 보는 이야기. 저자는 이를 정신과 의사에게는 말하기엔 너무 사소하지만, 그래도 일상속에서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는 여성들의 심리라고 말해준다.

자신을 성찰하고 자꾸 돌아보는 행위는 곧 앞으로 살아갈 우리의 미래를 더 의미있고 나답고 튼튼하게 해주기에.

제목과 소제목에서 먼저 느끼는 감정은 그래, 그렇지..이런 적이 있었어..이런 기분은 그다지 낯설지 않아. 아하..내가 바로 이 느낌속에서 한 행동이었구나..하는 일련의 감정들이 속속 솟아올라온다.

리셋증후군, 무조건적인 사랑, 자기검열, 자기 위로, 감각테라피, 애도, 선택적 주의, 폭식증, 등..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심리학적 용어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용어들이 쓰여지는 일상 속 여성들의 모습을 저자는 마치 꽁트처럼 그려내고 있어 쉽게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20대 여성들에게 매우 유용할 듯한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나온 시절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 불혹을 넘겼으니 삶을 바라보는 시선은 이제 거의 여우가 되어 알고도 미처 실행하지 못할 뿐. 그다지 새로운 시선은 없다. 적어도 여성들의 심리에 대해서는 말이다.

아직은 관계속에서 자신을 객관화한다거나, 타인의 모습을 제대로 읽어낼 줄 모르는 경험이 적은 20대 사회초년생들은 이 책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자신도 미처 깨닫지 못한 모습을 들여다 보기도, 타인을 알아가는 과정을 배우기도 말이다.

저자가 대학의 학생상담센터에서 상담심리사로 활동하면서 수많은 20대 여성들의 고민에 귀 기울인 결과가 이 책에 다 들어있다고 보면 되겠다. 

젠더로 살아가면서 관계에 대한 고민은 필수적인 사항이다.

개인의 욕망에 충실하면서 이율배반적으로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 줄어드는 세태를 보면서 혹은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기계식 대화에 익숙한 세대를 보면서 참된 관계맺기에 대한 결핍을 동시에 느낀다.

저자는 아침에 눈 떠서 잠드는 순간까지, 여자들이 마주치는 하루 동안의 69가지 심리 장면을 공감 가득한 생활밀착형으로 그려놓고 있다.

내가 무의식속에서 온 몸의 각 종 기호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한다면, 세상속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좀 더 정확해지지 않을까.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나는 무엇인지, 내가 살고자 하는 삶이 무엇인지, 바로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는 일이 20대에는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