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여 네가 말해다오
조용호 지음 / 문이당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독특한 향기가 나는 소설이다.

근래 들어 이런 스타일의 소설은 참 오랜만인 거 같다.(그렇다고 최근의 소설을 많이 읽은 것은 아닌데....).

처음 이 소설의 내용이 노래패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것이라고 했을 때, 마음이 자꾸만 아스라해지는 기분이 들었다.

노래패하면, 흔히 우리는 '노찾사'의 목소리를 떠올릴 것이다.

80년대에 대학을 다닌 나에게는 노래패라는 단어가 가지는 뜻은 여러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

노래패에 속해 있는 애들은 언제나 학내 어디에서든 눈에 띄였다. 그들이 만들어내는 화음이 주는 감동과 울림은 가히 가슴을 뜨겁게 하기에 충분했다.

연우의 기타처럼 기타를 치면서 창작동아리에 속해 있던 친구도 있었다. 이 소설을 읽는 동안 그들의 목소리, 그들의 고뇌, 밤을 하얗게 밝히던 노래를 향한 열정..그 언저리에서 동동거렸던 내 청춘도 기억이 났다.

<기타여 네가 말해다오>는 저자의 젊은 시절 노래패 활동의 경험을 녹여낸 작품으로써 민요와 어찌할 수 없는 운명적 사랑에 대해서 그려내고 있다.

소설은 노래꾼인 연우가 화자인 나에게 비망록을 남긴 채 종적을 감추는 것으로 시작된다. 비망록에는 '사라진 노래를 찾아 떠난다'며 칠레 가수 '비올레타 파라'의 노래  <생에 감사드리며>가 유언처럼 적혀 있다. <생에 감사드리며>는 이 책의 표지를 넘기면 첫장에 저자가 사인으로 남긴 그 글귀이기도 하다.

나와 내가 한때 연모하기도 했던 연우의 아내인 승미는 비망록이 안내하는 대로 연우를 찾아 나서고, 그 길에서 지난 날의 추억과 새롭게 알게 되는 사실과 조우한다. 한때 시절을 풍미했던 노래패들의 현재의 모습을 우리는 이 소설을 통해서 어렴풋하게나마 알게 된다.

'사라진 노래를 찾아 떠난' 연우에게 그 사라진 노래는 한때 영혼으로 사랑했던 해금을 켜는 선화였다. 선화는 연우는 부모에서부터 이어지던 운명의 인연. 선화는 파멸로 가는 관계를 막고자 연우에게서 숨어버리고,,,연우는 또 하나의 노래 선화를 찾아 멀고 먼 남미까지 찾아가기에 이른다.

승미의 노래는 깊지만 어둡지 않았고 밝지만 가볍지 않았기에 오히려 연우는 그녀에 대한 연민을 쉬이 접을 수 있었던 것일까?

청승맞는 듯, 통곡하는 듯, 애절한 선화의 해금소리를 연우는 결코 놓을 수가 없었던 것인지.

노래와의 인연이든, 사람과의 인연이든 간에 인연의 끈의 힘이 그토록이나 강한 것이지...연우와 선화는 영원히 오디세우스와 세이렌의 전설로 사라진다. 예정된 그들의 파국앞에서 망연해지는 승미의 마음이 자꾸만 신경에 쓰인다.

남미에서 돌아온 승미는 마치 연우를 가슴에서 도려내는 것처럼 유방암의 암세포를 잘라내고, 연우의 승미의 공동음반을 기획한다.

나는 승미의 구원투수가 되어 배경으로만 존재해도 아름다운 사람이리라, 자위하며 언제까지나 눈에 보이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바람이고자 한다. 그래도 내게 주어진 "생에 감사드리며".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도 쉬이 마음이 닫히지 않는다. 해서 다시 첫장부터 스르륵 넘겨보게 되는 저간의 의미가 가지는 것은 무엇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가슴 한켠이 아려오는 기분은 확실하게 감지되는 느낌이다. 그리고 이내 쓸쓸해졌다.

문장의 세련미나 소설의 구성이 그다지 빼어나다고 할 수는 없겠다. 납득되지 않는 내용의 전개도 보였다.

허나, 작가가 6년 동안 심혈을 기울여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깊이 깊이 생각해보고 싶어지는 마음이 들었다.

그렇게 21세기에는 어울리지 않는 조금은 낯선 분위기의 소설이 주는 감동은 생각보다 깊었다.

요즘도 노래꾼이나 가객이란 말이 쓰임받는지 모르겠다. 언젠가부터 사어로 사라져가는 단어들이 꽤 된다. 더불어 같이 사라지는 정서도 분명히 존재한다.

소설의 플룻이 눈앞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뚜렷하게 그려지는 느낌은 바로 한 편의 영화를 보고 난 느낌과 흡사했다.

 영화 <서편제>가 자꾸만 눈앞에 아른거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