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나무여행 - 나무를 찾아가는 여행 52 주말이 기다려지는 여행
고규홍 글.사진 / 터치아트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내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 입구에는 커다란 당산나무가 한 그루 자리하고 있었다.

오색줄이나 금줄은 보이지 않았지만, 자랄 때 분위기로는 마을 어르신들이 몹시 아끼신다는 느낌을 받았기에 그 느낌은 고대로 어린 우리들에게도 전염되었다.

당산나무의 원래 이름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우리는 만남의 장소로, 혹은 놀이터로 그 나무를 아껴었다. 언젠가부터 나무아래 평상이 놓이면서부터 오가는 사람들의 아늑한 쉼터가 되어주던 나무그늘....

외지에서 고향으로 돌아오는 사람들은 먼 시야에 나무가 잡히면서부터 눈시울이 붉어지곤 했다. 그렇게 당산나무 한 그루는 고향이라는 단어와 이음동의어였다.

나무에 대한 애정과 추억이 남다른 나에게 고규홍님의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나무여행>은 그야말로 행복하기 그지없는 만남이었다. 용문사의 은행나무나 속리산의 정이품송, 전주의 곰솔 등...나름 전국의 이름이 알려진 나무들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여왔으나, 생각보다 나무에 대해서 집대성한 책들은 쉽게 보이지 않았는데, 이 책은 우리나라의 큰 나무를 찾아 떠나는 최초의 '나무여행책'이라는 데 큰 의의를 둘 수 가 있겠다.

고규홍님이 소개해주는 나무들은 사진속의 모습만으로도 가슴이 턱 하고 막힐만큼 장엄하기 그지없다.

단순히 하늘을 향해 서 있는 직립의 비원이라고만 표현할 수 있을까? 옛 조상들이 신목이라 하여 숭배하고 금줄치던 그 마음을 능히 이해할 수 있을 것만 나무님들이다.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세월을 살아온 나무둥치에는 사람살이의 흔적이 남기 마련....

사연도 가지가지, 내용도 구구절절...인간과 함께 살아왔기에 그만큼 나무에 얽혀 있는 사연 또한, 인간사와 여지없이 닮아 있다.

 

2007년도 발간된 초판에는  나무만을 중심으로 하여 52개 코스의 260그루의 나무만으로 소개했었는데, 많은 나무를 하나라도 더 소개하고자 주변의 여행지는일부러 무시했는데, 오히려 그점이 실제 여행을 이끄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 듯 하여, 이번에 개정판으로 내면서 바로 그 부분을 보완하였다고 한다.

총 4장으로 나뉘어 담겨져 있는 나무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의 나무들로서 각각 명품나무의 신비, 사람의 자취로 남아 있는 나무살이의 지혜, 선비의 기상으로 이 땅을 지켜낸 호연지기, 예향의 산과 들을 지킨 수직의 아름다움, 이란 모습으로 이 땅 삼천리 금수강산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얽힌 사연도 가지가지, 나무의 종류도 가지가지, 모양도 천차만별, 그야말로 알고 나면 보이나니, 그전에 알았던 나무의 모습이 아니라 새롭게 알게 된 나무 한 그루로 인해 주변 전체가 새로워지는 신선한 경험을 하게 된다.

책내용은 전반적으로 먼저 찾아갈 나무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나와 있고,  이어서 여행길에 가볼 만한 곳이 소개되어 있으며, 나무찾아가는 길이 지도로 첨부되어 있다.

처음부터 읽지 않아도 이해하기 쉽게 단락지어 있으며, 원하는 곳이나 나무를 먼저 찾아 읽어 주말여행에 활용하면 더 할 나위없이 좋을 나무여행 안내책자이다.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나무여행>은 역사탐방, 혹은 시간여행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며, 우리 조상의 시원의 모습을 찾아가는 여정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