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태어날 때부터 금숟가락을 입에 물고 태어났으니, 그 이름은 세자라.

그러나, 크나큰 기대와 기쁨속에서 태어났어도 미래는 알 수 없으니, 거친 정쟁 틈에서 자신들의 삶을 온전히 지켜내지 못했던 불운의 세자가 있었으니, 소현세자와 사도세자가 바로 그들이다.

 

병자호란의 역사는 조선시대 가장 굴욕적이면서도 가슴 아픈 우리 민족의 상처다.

어린 시절, 병자호란으로 인해 머리속에 각인되었던 장면은 인조의 무릎꿇었던 치욕스러운 모습과 봉림대군의 늠름한 모습이다.

당시 읽었던 책이 무엇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봉림대군의 왕위 승계는 너무도 당연하게 여겨질 정도로 왕재로 그려져 있던 기억이 뚜렷하다. 반면 그의 형, 소현세자는 병약하고 우유부단하고 심약하여 당시 어려웠던 조선을 이끌어갈 만한 재목이 되지 못하게 느껴져 그 존재가 희미할 뿐이었다.

 

가려졌고 감추어졌던 역사는 시간의 흐름속에서 재조명되고 그것의 가치나 위상이 재정립되는 시기가 필연코 오기 마련이다.

사도세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당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재조명이 불가피하게 되었고, 오인된 역사적 사실을 바로잡는 것은 현재와 내일을 관통하는 잣대가 되어주기 때문에 꼭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부터 소현세자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한 거 같다.

사학계의 흐름을 잘 알지 못하지만,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사실들을 전복시켜 주는 사학계의 다양한 움직임들은 우리가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임을 간접적으로 웅변한다.

 

약소국의 세자였던 소현세자의 한많은 삶과 이어지는  의문의 죽음은 단지 의문으로만 남은 채, 소현의 행적은 사실 내게 그다지 궁금한 역사는 아니었다.

그러나 간략하나마 자연스럽게 재조명되는 소현을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접함으로써, 절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알게 된 사실들은 매우 안타깝고도 가슴아픈 역사적 사실들이었다.

가장 최근에 접했던 소현과 세자빈 강빈의 모습은 어떻게든 조선으로 돌아와 부국강병하고자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고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인 사고의 소유자로 활기차면서도 살아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한 때 몹시 몰입했던 작가인 김인숙님의 손길로 태어난 <소현>은 적국에 잡힌 인질의 몸으로서 7년의 세월 동안(이 책에서는 귀국전 2년의 세월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인내와 고독과 두려움의 세월과 싸워야 했던 처절한 삶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는 세자로서의 고뇌와 한편으로는 한 인간으로서, 아들로서, 아버지로서의 고뇌와 아픔을 함께 다루고 있다.

조선의 인조를 세우고, 소현을 세자로 세웠던 명이 다시 흥하여 조선도 부국강병하여 청을 무너뜨리고자 하였건만, 그 명이 오히려 청에 망하고 그 댓가로 인질의 몸에서 드디어 풀려나 그토록이나 그리워했던 조선땅을 밟았건만, 귀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학질이라는 병으로 숨을 거두게 되고 만다.

 

사실 이 책에서 처음 기대한 것은 이것이 아니었다.

소현의 의문의 죽음을 작가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소설적 기법으로 형상화했을 줄 알았다.

그러나, 저자도 고백했지만, 단지 몇 줄의 역사적 기록으로 남은 그의 죽음의 근거로 소설화한다는 것은 너무 부담스러운 일인지도 모른다. <소현>에서 저자가 그려낸 소현세자의 고뇌와 고통이 너무 사실적이어서 당시 조선의 상황이 너무 아프고 또 아파서 어쩌면 너무 흥미 위주로 내가 소현을 대하지 않았나 죄송스런 마음이 들 정도였다.

 

올 봄은 참 바람도 많이 불고, 날씨도 음습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추웠다.

이 봄에 만난 소현은 적국에서 이와 같은 바람을 온 몸으로 맞았으리라. 물설고 말설고 낯설은 적국의 땅.

앉은 자리, 선 자리 그 어느 곳도 편하지 않았던 곳.

그래도 마음 깊은 곳에 조선을 사랑하고, 꿈을 키우고, 조국의 미래를 염려했던 세자의 마음.

그 마음을 생각하니 새삼 가슴이 시리다.

 

이제 와서 지나간 역사를 돌이킬 수는 없고, 다만 우리는 조선의 역사에 소현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