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오류 사전
조병일.이종완.남수진 지음 / 연암서가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란 지나온 인류 발자취의 기록이다. 그리고 이것은 진실만을 기록한다는 것을 그 전제로 한다.

우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현재의 위치를 돌아보기도 하고, 또한 나아가 미래의 시간을 가늠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진실의 토대위에 서 있어야 할 역사의 기록들이 때때로 거짓의 기록이었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할 뿐 아니라 한편으로는 어이없기도 하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역사란 기록하는 자의 시각이나 주변 환경에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난 왕조의 역사적 기록을 보아도 그렇다.

뿐인가, 작금의 중국의 동북공정론이나 일본의 역사왜곡 사실을 보아도 충분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적 기록을 다각적인 시선으로 조명하는 작업은 계속해서 병행되어야 할 것이란 생각을 해본다.

이번에 연암서가에서 발행된 <세계사 오류 사전>은 그동안 우리가 진실로 믿고 있던 '오류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묶어 정리한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기존의 '오류의 사냥꾼'들이 역사의 뒤안길을 뒤져서 발견해낸 자료를 새롭게 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사 오류 사전이라고 명명되어 있지만, 기존의 자료를 근거로 해서인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일본이나 우리나라를 언급한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 중국에 해당하는 것만 몇 개 보일 뿐....

(그러고 보니 대체적으로 문헌에서 말하는 세계사는 서양을 중심으로 한 언어였음이 생각난다.)

그동안 인류가 존재해 온 이래, 수많은 역사의 사기꾼들은 자신의 입맛대로 혹은 권력의 압박에 의해서, 또는 다양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진실을 왜곡하고 조작하고 때로는 은폐해왔다.

이 한 권의 책으로 그 오류의 역사를 다 담아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115개나 소개되어 있는 내용을 면면히 살펴보면 과연 역사의 진실성이란 것이 무엇인지 깊은 회의에 빠지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게 다라면 좋겠지만, 지금도 역사는 여전히 오류의 강물을 흐르고 있으니 참으로 진실을 제대로 알기란 아득한 일이기만 한 것일까.

소개된 내용 중에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도 있어 이제는 오류의 역사라고 말하기에 뭣한 것도 있었지만, 내 일천한 지식으로 인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도 많아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맨 처음에 소개된 '간디는 비폭력 평화주의자가 아니었다'는 내용은 얼핏 들어본 기억이 있는 듯도 했지만, 영국의 현대의학을 혐오하여 죽어가는 아내를 영국의사에게 보이지 않았던 간디가 정작 자신이 학질을 앓았을 때는 너무도 쉽게 원칙을 깨뜨리고 영국인 의사에게 치료를 받았던 모습은 위선자의 전형으로서 매우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폴레옹의 키가 사실은 그다지 작지 않은 169cm라는 것과 흔히 코높이로 클레오파트라의 세기의 미모를 말해온 것에 비해 그녀의 코가 매부리코였다는 사실, 그리고 고작 키가 150cm였다는 사실은 아주 재미있는 기록이었다.

네로황제가 사실은 기독교도를 박해한 황제가 아니었는데, 영화 '쿼바디스'에서 폭군이자 방탕한 황제로 그려지고 기독교도를 탄압하는 모습이 묘사되는데, 이 영화의 대성공이 역사적 사실마저 왜곡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는 내용은 요즘 TV에서 방영되는 '선덕여왕'같은 사극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한다.




이 외에도 매우 흥미로운 내용들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소개되어 있다. 하나의 소제목에 약 3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으며, 각 내용에는 사진이나 그림이 첨부되어 있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은 만나보게 되면, 이미 알고 있는 인류의 역사를 다시 한번 되짚어보게 되는 시선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사에 관심있는 자라면, 한번쯤은 꼭 만나봐야 할 책으로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