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 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김탁환.강영호 지음 / 살림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김탁환이야 이미 널리 알려진 소설노동자이고, 강영호는 내가 인지하고 있던 그사람인가 했더니 과연 그러했다.
언젠가 연예 가십란에서 인지했던 바로 그 작가가 강영호였던 것이다. 인터넷 검색만 하면 다 나오는 이름이니, 여기서 내가 거론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강영호 작가는 이 책 후기에서도 살짝 언급하고 있기에 언급해 보자면, 여배우 추상미와 오랜 연애를 하는 과정이 현해탄을 넘나들며 소개된 적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한 에피소드를 보며 강영호라는 사람이 상당히 독특하고 개성이 강한 자기만의 세계가 확고하다는 느낌을 받았었다.
괴물은 괴물을 알아보듯이, 김탁환 작가와 강영호 작가는 서로를 단번에 알아봤다고 한다. 서로가 동류의 인간이라는 것을.
정상과 비정상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몽상가라는 것을 말이다.
이 책 <99: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는 춤추는 사진작가 강영호가 사각의 프레임에 형상화함으로써 이미지로 고착화한 서울이라는 도시안의 괴물들을 일별한 김탁환작가가 그 괴물에 스토리를 입힌 아주 독특한 개념의 사진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명의 저자가 밝히고 있듯이 꼭 '사진은 강영호, 이야기는 김탁환'으로 구분된 것이 아닌, 책으로 나오기까지 두 사람의 상상속에서 서로가 교감하고 또한 실제 자신들의 이야기를 뒤섞어 엮어낸 것이기에 김탁환, 강영호 장편연작소설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가 만들어낸 괴물같은 인간들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강영호 작가가 직접 이야기를 끌어가는 사람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 소설의 시작은 홍대에 있는 드라큘라성의 상상사진관을 기점으로 하여 일어나는 사건들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단편마다 하나의 주제를 담고 등장하는 괴물들은 각각 상대성 인간, 인간인간인간, 반딧불이 인간, 웨딩 인간, 끈적 인간, 아몬드 인간, 알바트로스 인간, 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들은 우리 안의 무의식 속에 숨어 있는 기형적인 마성의 판타지아,라고 소개되고 있다.
나응 이 중에서도 인간인간인간과 알바트로스 인간의 상상성이 주는 여운이 가장 강하게 남았다. 
'인간인간인간'은 T의 배에 나타나는 타인의 얼굴이 선명해지면 그 사람은 죽게 되고, 일상을 성실히 살아가던 T는 수술까지 감행하면서 일상을 회복하지만, 어느날 다시 배에 나타나는 얼굴이 자신의 모습이라는 것을 깨닫고는 이내 자살하고 만다는 내용이다.
'알바트로스인간'은 인간의 날고 싶어하는 욕망을 그려낸 단편으로 그리스신화의 이카루스가 생각나는 소설이었다.
 
이 책은 김탁환, 강영호 두 작가의 작품이지만, 나는 강영호 작가의 느낌을 더 많이 받았다. 김탁환 작가는 <노서아 가비>라는 작품으로 접해본 것이 다였기에 김작가의 향기를 맡기가 어려웠기도 하지만, 이 책의 흐름을 주도하는, 혹은 키워드 역할을 하는 강작가의 사진들이 주는 충격이 더 뇌리에 박혔기 때문이다.
자신을 모델로 하여 찍은 강작가의 사진들이 주는 메시지나 그 상상력의 세계는 평소의 나로서는 도저히 생각할 수도 없는 것들이었고, 친근하게 다가오는 소재들도 아니었기에 이미 읽고 넘어간 페이지도 다시 되돌아 읽기 여러번...
 
공동저자는 말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서울과 한국을 벗어나 뉴욕에서도 런던에서도 세계 어느 곳에서도 먹힐 수 있는 보편적인 그 무엇이라고. 그들의 이야기는 세계성을 띠고 있다고.
현실과 상상의 경계, 사진이라는 장르와 소설이라는 장르의 경계를 가로지는 그들의 모험이 보편성을 획득하고 세계속으로 뻗어나가 세계의 독자들에게 호흡하여 당당히 자리매김되는 그들의 자리가 기대속에서 기다려진다.
두 작가의 행보에 깊은 관심과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