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 브로드 1
팻 콘로이 지음, 안진환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사우스 브로드는 미국 남부 캐롤라이나 주의 한 거리의 이름이다.

그리고 이 거리에는 미국 남부의 최고 상류층만이 살고 있고, 그들은 그들만의 언어와 문화와 품위와 삶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두 가지의 말로 압축할 수 있다. 그것은 '친구와의 변치 않는 우정'과 '미국 남부를 관통하는 문화'이다.

미국 남부출신이라는 자부심과 그들만의 개성있는 표현으로 우정을 가꾸고 지켜가는 10명의 굴곡있는 스토리의 전개는 매우 흥미진진하게 두권의 책에 담겨 있다. 그리고 흥미로운 주제들은 팻 콘로이라는 저자의 문체속에서 더 화려하게 빛을 낸다.

시종일관 농담인지, 진담인지, 아니면 공격인지, 친화의 표현인지 헷갈리는 그들만의 우정어린 대화는 읽는 재미를 배가시켜 준다.

1969년 블룸스데이에 의도하지 않았으나 거대하고 대항할 수 없는 우연한 힘에 의해 만나게 된 10명의 주인공. 형의 자살로 인해 내면에 깊은 상처를 간직한 레오 킹, 그의 앞집으로 이사온 아빠에 대한 공포와 상처를 지닌 쌍둥이 남매 시바 포와 트레버 포, 고아원에서 만난 나일즈 화이트헤드, 스탈라 화이트헤드 남매, 베티 로베티, 풋볼 코치의 아들이자 동료가 되는 아이크 재퍼슨, 그리고 사우스 브로드 거리의 명망있는 가문 출신의 채드워스 러틀레지와 프레이져 러틀레지 남매, 몰리 허거.

이들은 인종도 다르고, 계급도 다르고 종교도 다르지만, 여러 이유로 페닌슐라 고등학교에서 만나고 이후 깊은 우정으로 나누는 사이로 발전한다. 물론, 이들은 깊은 우정을 나누기까지 많은 사건을 겪으면서 서로를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공유하기에 가능하게 된 것이다. 소설은 1969년과 1989년의 찰스턴을 번갈아면서 넘나들며 스토리를 전개한다. 

채드워스와 몰리, 아이크와 베티, 나일즈와 프레이져, 레오와 스탈라는 커서 서로 부부가 되고, 이들은 관계는 서로 인척관계로 얽히게 되어 우정이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더 굳건하게 연결된다.

헐리우드에서 여배우로 이름을 날리는 시바가 찰스턴을 방문하면서 이들의 성장후의 이야기는 전개된다. 채드워스는 명실공히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상류층 변호사로 활약하고 있고, 레오 또한 아침마다 신문을 장식하는 칼럼리스트가 되어 있다. 아이크와 베티는 경찰이 되어 있으며, 특히 아이크는 경찰서장으로 취임한다. 천애고아 산골소년이었던 나일즈도 교육자로서 상류층의 사위로서 그 자리를 잡고 있다. 모임때마다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로 친구들을 즐겁게 해줬던 트레버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에이즈에 걸린 채 실종된다. 시바는 친구들에게 오빠를 같이 찾자고 부탁하게 되고, 트레버를 찾는 과정에 함께 하면서 이들의 우정은 더 깊어진다. 십대 시절만큼 순수하게 서로의 운명을 하나로 여기며 여전히 서로를 사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 것이다. 그러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마흔을 앞두고 있던 이들은 자신들의 삶을 중간 점검하게 된 것이다. 시바는 헐리우드에 염증을 느껴 고향에 정착하고자 하나, 변태소아성애자이며 전과자인 아버지에게 끔찍하게 살해된다. 채드는 결혼생활의 일탈을 하게 되고, 몰리는 잠시 레오에게 다가온다. 레오는 자신의 상처로 끝없이 방황하는 스탈라와의 결혼으로 인해 본인의 삶까지 고통속으로 내몬다. 그리고 어느날, 스탈라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접한다.

가장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아이크와 베티 부부, 프레이져와 나일즈 부부의 모습은 이 모임의 중심을 잡아 준다.

이들은 각자 태어난 출신과 속한 세상이 달랐지만, 서로의 삶과 모습을 인정해주고 긍정해 준다.

채드의 경쟁적인 본성, 베티의 어머니다운 면, 나일즈의 보호자같은 모습, 레오의 신파적인고 감상적인 면, 몰리의 우아하고 배려깊은 모습, 아이크의 위엄있고 듬직한 리더의 모습, 프레이져의 따뜻한 성실한 면, 시바의 여신같은 모습, 트레버의 예술가적인 면 등...

그 안에서 이들의 아름답고 견고한 우정이 지켜질 수 있었던 것이다.

 

소설의 막바지에 다다르면 미국 남부 사우스 브로드 거리에 휴고라는 이름의 허리케인이 불어오고, 이 태풍으로 계급과 인종을 생각하면 결코 한 자리에 할 수도 해서도 안 되는 자들이 저녁을 함께 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거기에는 페닌슐라 고등학교 출신의 10명의 우정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아름답게 성장하고 있기에 가능한 사건이었다. 저자는 모든 상처와 아픔을 성숙하게 이겨낸 주인공들의 모습을 찰스턴의 아름다운 배경을 중심으로 매우 풍부하고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삶에는 어떤 일이라도 일어날 수 있는 것. 그것을 우리는 살아가면서 배운다. 소설에서 내가 배운 것은 바로 이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