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번째 빙하기
오기와라 히로시 지음, 양억관 옮김 / 좋은생각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오기와라 히로시의 작품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설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일정한 주기로 성장소설을 읽어주면 이미 인생의 쇠락기에(?) 접어든 나이임에도 또다른 인생의 깊이를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소설을 선호한다.

낯선 작가이자 외국소설이지만 성장소설이라는 점에서 마음이 갔고, 우리나라의 성장소설과는 어떤 점에서 다른지 이번 기회에 알고 싶기도 해서 읽게 되었다.

책날개에 나와 있는 저자의 이력을 보니, 이미 문단에서는 절묘한 필치와 세련된 유머가 돋보이는 문장으로 그 저력을 입증받은 작가이자 행간에 인생의 애환이 감도는 언어감각으로 상당한 팬층을 확보한 작가였다. (이렇게 해서 이미 유명하고도 새로운 작가를 알게 되었다.)

항상 새로운 테마에 도전하는 저자는 현재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작가 중의 한사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한다.

'항상 새로운 테마'에 도전한다고 하더니, <네번째 빙하기>를 읽어보니 과연 그러했다.

성장소설에 빙하기라니, 그리고 주인공이  태어나니 아버지가 없는데, 그 아버지가 크로마뇽인일 것이라는 설정이라니, 참 신선하면서도 묘한 흡입력을 발휘하는 소설이었다.

 

기업연구소의 연구원인 어머니와 단둘이 살아가는 와타루, 아버지가 없다는 점도 그렇지만, 외모도 이웃의 누구와도 같지 않은 것은 와타루에게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다.

우리 모두는 누구와도 같지 않고 각기 구별되는 특성이 있지만, 와타루의 다른 점은 유독 부각되고 선생님과 친구들의 편견어린 시선을 받게 된다.

이런 와타루에게 단 하나의 친구가 생겼으니 무능력하고 폭력아빠를 둔 '사치'다

 


 아버지가 없는 와타루와 아버지가 있으나 없느니만 못하는 사치는 자신의 껍데기가 마음에 들지 않는 달팽이와 소라게같은 존재였다. 아무리 마음에 들지 않아도 소라게와 달팽이는 껍데기를 서로 바꿀 수도 없다. 둘은 자신의 껍데기를 찾고 있는다는 점에서 동지이자, 친구였다


 

소설속에서 와타루와 사치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과정은 너무도 당연하게 가슴을 울린다. 성장기의 아이들이 가질 만한 여러 가지 의문들, 그 의문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름답고 깨끗하고 순박하게 그려진다. 그리고 그 안에서 서로를 진정을 다해서 사랑하는 법을 깨닫게 된다.

와타루가 아버지의 자식으로서 그 뿌리를 찾는 과정에서 신석기 시대의 유물이나 수렵생활이 그려지는데, 비록 엉뚱해 보이는 설정이나 이 또한 성장소설이기에 가능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전혀 어색하지가 않았다. 오히려 성장소설이 가지는 배경적 상투성에서 벗어나 신선해서 좋았다.

인간은 누구나 아픔과 어려움을 겪으면서 성장해 간다. 인류가 세번의 빙하기를 거치면서 살아남았듯이.

오기와라 히로시가 <네번째 빙하기>의 결말을 밝게 그려주어서 감사하다.

정체성의 혼란으로 이 시대에 아픔을 겪는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많이 읽었음 한다. 그래서 와타루와 사치처럼 자신만의 세상을 당당하게 만들어가길 진심으로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