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를 뒤흔든 12가지 연애스캔들
박은몽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제목에 대해서 먼저 언급하고 넘어가야겠다.

처음 책의 제목을 접했을 때 오는 느낌이 상당히 선정적이다. 아, 물론, 그 선정성에 뒤흔들려 선뜻 집어든 나같은 독자도 있으니 일단 성공은 했지만 말이다. 독자를 겨냥한 제목이기는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난 내 느낌으로는 제목에서 '스캔들'이라는 단어가 왠지 좀 거슬린다.

그것은 '스캔들'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가 부정적인데 반해, 책에서 소개되는 신라의 성 또는 연애 풍속도는 그야말로 신국의 도로써 당연한 것이기에 '스캔들'이라는 단어로 타이틀을 정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요즘 인기리에 상영되는 모방송의 <선덕여왕>을 시청하는 자라면 그나마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김별아의 <미실>이라는 소설을 일찍이 접해본 적이 있기에 생각보다 그 충격은 덜했지만, 신라의 김대문이 쓴 걸로 추정되는 <화랑세기>와 <삼국사기>,<삼국유사>를 참고하여 작가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서술한 <신라를 뒤흔든 12가지 연애스캔들>은 처음 접해본 독자라면 그야말로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충격적인 내용임에는 틀림없다. 한번도 감히 생각해보지 못한 우리 조상들의 성풍습이 적나라하게 이 책에 소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방송의 힘으로 낯설지 않게 다가오는 신라의 옛 명칭인 신국, 그리고 그 신국에 존재하는 신국의 도,는 <화랑세기>에서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 책의 다양하게 소개되는 예화들을 통해 짐작해볼 때, 그것은 색을 도로 숭상하는 독특한 문화가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색공지신이라고 하여 색을 전문으로 다루는 가문이 따로 존재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바로 색공지신의 가문 출신이다. 그러니까, 신국에서는 색이 '금기시되거나 천한 것'이 아닌 그야말로 '도'였기에 바로 그것은 신라를 타국과 차별화시켜주는 신라의 힘이었고, 서로를 묶어주는 공감대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삶에 대한 열망으로 가슴 뛰게 하는 생명력의 원천이었다. 

고구려, 백제와는 너무도 다른 신라만의 색깔이 바로 삼국통일을 이루어낸 저력으로 발휘되지 않았나, 책을 읽으면서 저절로 든 생각이다.

왕실의 스캔들은 소설 <미실>에서 익히 읽었던 부분이라서 역시 첫번째만큼은 충격이 크질 않았다. 모녀가 한 남자를 섬기는 얘기, 아버지의 여자를 탐한 아들같은 예화는 중국의 역사속에서도 흔히 만날 수 있는 것들이다. 다만, 생각지도 못했던 화랑들 사이에서 이뤄지는 남색까지도 당시의 신라사람에게는 그다지 놀랄만한 것이 아니었다.  서양의 동성애지지페스티벌보다 훨씬 더 앞선 선조들의 성의식을 엿볼 수 있었다.

남매간의 혼인, 지체높은 연상의 과부와의 결혼으로 신분상승을 꾀하는 남자, 성상납으로 남편을 출세시킨 여자. 남편의 부탁으로 손님을 성접대한 아내, 슬픔을 색으로 위로한 사람, 등 지금 세상에서 성에 대해서 금기시하는 대부분이 것들이 다 우스울 정도로 어찌 보면 문란해 보일 정도의 예화들이 가득하다.

남자도 여자를 여럿 거느릴 수 있지만, 이는 여자도 마찬가지다.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세종을 남편으로 하고, 설원랑을 애인으로 하는 것들이 다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관계들이다. 물론, 이런 신국의 도에도 비공식적인 사통의 관계로 비난받는 것들도 있다. 다만, 거기에는 그들만의 규칙이 따로 있다고 나와 있다.

제일 놀라운 것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마복자 제도이다. 이는 임신한 여자를 윗계급의 남자가 취하면 태어난 아이가 바로 그 남자의 마복자가 되는 것으로서 평생을 그 남자가 마복자의 뒤를 돌봐주는 제도인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는 마복자만 100명이 넘는 거대한 세력을 형성하기도 하는 것이다. 

김대문의 <화랑세기>는 그 진위여부가 아직도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 책에서는 <화랑세기>가 진짜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대고 있는데, 고대 역사서가 부족한 우리나라 상황에서 비록 논란의 여지는 있더라도 <화랑세기>의 내용은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마냥 다 조작이라고 치부하기에는 그 뒤를 잇는 나라인 고려를 들여다보면 신국의 도가 아주 허무맹랑한 것만은 아니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고려시절 딸의 재산권이라든가, 과부의 재혼등은 그리 낯설지 않은 제도였을 뿐 만 아니라, 고려 초 왕가의 결혼풍습을 보면 신라처럼 혈족끼리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요즘의 상식적인 시각에서 판단해 보면, 도저히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많았지만, 개인적으로 여왕까지 배출해내는 신라의 균형적인 힘은 바로 남녀 모두에게 공평한 잣대가 주어졌던 신국의 도가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조선조 유교적 관습으로 인하여 몹시 불행했던 삶을 살아갔던 여성들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그리고 현재까지도 다른 잣대로 남녀의 성풍속도를 재단하는 견고한 사회관습을 보면서 신국을 살았던 여성들의 삶이 참 부럽다는 생각을 했다. 사회적 약속이나 관습, 제도보다 앞서는 것은 분명 사람 그 자체인 것이다.  신국의 도는 신분의 계급적 차이로 인한 문제점은 일부 보이지만 남녀모두에게 주어졌던 색도의 기회가 인간본능을 배반하지 않은 참 공평한 관습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