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 500년 조선사를 움직인 27인의 조선왕, 그들의 은밀한 내면을 파헤친다!
강현식 지음 / 살림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시절의 역사를 다룬 책 중에는 유독히도 조선에 관한 것들이 많다.

그것은 아마도 가장 현재와 근접한 왕조이고, 그런 만큼 사료도 많이 남아 있을 것이고, 또한 왕조의 역사가 길기에 그 내용도 풍부해서 일 것이다. 이에 조선왕조실록과 유사한 책들은 시중에 많이 나와 있어 이미 여러 번 그 형식을 달리 하여 접해봤기에 새삼스레 그 내용이 궁금할 것은 없었다.

다만, 요즘 들어 부쩍 관심이 가던 심리학이라는 렌즈를 통해서 조선왕조를 들여다보았다고 하니 호기심이 급 당기지 않을 수 없었다. 받아본 책은 얼굴 없이 곤룡포 차림의 임금 사진(아무래도 세종같음)을 바탕에 깐 채 8송이의 국화 중 유독 한송이만 빨간색인 국화가 표지 중심에 자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여기서 잠깐 책표지에 대해서 언급하자면 요즘은 책표지 색으로 약간 탁한 황금색을 사용하는 것이 대세인가 보다..이전에 읽은 책 중에도 두권이 이 색을 사용했는데..이 색이 주는 느낌은 고급스러우면서도 클래식하고 무게있어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고 보니 두권의 책이 마침 클래식관련음악서적과 역사서적이다. 흠. 근데. 이 책도 바로 그 색을 바탕색으로 사용했다. 곤룡포의 곤색과 어울러져 상당히 고급스럽다..맘에 든다. 잠깐 얘기가 옆으로 샜다. 다시 원점으로 가보자.

이 책의 저자는 <구나 가갈 수 있는 리학을 꿈꾸는 이>라는 그래서 누다심, 이라는 필명으로 심리학의 대중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심리학 글쓰기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비록 역사학자가 쓴 책은 아니지만,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역사를 기술하고 심리적으로 해석하려고 노력한 책으로서 어떠한 배경 지식을 갖고 있는지, 어떠한 기대를 하고 있는지,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 전혀 다르게 독자에게 다가가지는 무지개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움과 다양성이 주는 재미가 상당하여 순식간에 독파해버린 책이기도 하다.




조선왕조는 신권중심의 나라를 만들기 위한 신하와 왕권 중심의 나라를 만들기 위한 왕들의 권력투쟁 과정에서 그 많은 사건과 이야기들이 생겨났다고 간단하게 정리해볼 수 있다.

역성혁명으로 새 왕조를 연 태조 이성계의 심리를 양가감정을 통해서 조명한 것은 매우 신선했으며, 세조가 단종에게서 왕권찬탈을 한 것이 사실은 단종의 선위가 자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훗날 사가들이 세조의 왕위 계승 자체를 반대한 것이 아니라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을 그런 식으로 표현했다는 해석은 새롭게 안 사실이면서도 매우 놀랍다. 많은 사람들은 자세한 내막을 알지도 못하면서 자기입장에 따라서 판단한다. 그러면서 자신과 비슷한 입장에 있는 사람에게 감정이입을 하기도 하며 보는 관점과 해석에 따라 객관적인 사실이 때로는 전혀 다른 주관적인 사실로 변질되기도 한다고 심리학에서 보는 왕조실록은 말해준다.

드라마에서는 폐비 윤씨를 그렇게도 모질게만 대한다고 생각했던 인수대비가 개인적으로 참 안쓰러운 여인네로 이해되기도 하니, 심리학이 주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참으로 크다.

책은 이렇게 문정왕후와 명종을 조명하고, 선조와 광해군을 해석하기도 하며, 의심이 결국 나라의 굴욕으로까지 이어진 인조에 대해서, 마음이 공허한 나르시시스트 절대군주 숙종에 대해서, 억울함이 낳은 패륜 영조와 사도세자, 의존적 성격이 불러온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투쟁 고종, 등을 새롭게 이야기한다.




이렇게 심리학적으로 접근해 보면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나 사건은 없어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그 내용들이 다 온당한 것은 분명히 아니다. 이해와 용서는 다르니까.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도 있지만, 때로는 몸에 맞지 않는 자리로 인해 그 얼마나 많은 풍파가 생기는가.

역사에는 만약에...~했더라면, 식의 가정이란 있을 수 없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자꾸만 만약에 그때 이랬더라면, 이라는 식의 커다란 아쉬움이 생겨나는 것 또한 어쩔 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미 지나가버린 왕조는 그런다 치고, 책에서 배운 교훈대로 우리 아이들을 잘 훈육해야겠단 유익한 생각을 해본다. 누가 알겠는가. 장래 내 아이들이 이 나라의 큰 기둥으로 자리하게 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