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경 유착에 그 어떤 신뢰(?)마저 느끼는 부류의 사람이었다. 반갑거나 하는 부류의 것은 아니어도 거기에는 일정하게 약속된 그림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기업 우호적인 입장을 -비록 '경제'라는 말로 대체하지만- 대변해주고, 기업은 그런 정부가 운영되도록 뒷받침해주고 여러 노후자리까지 알아봐 주는, 불치의 서로를 서로가 케어해 주는 세련된 관계로 발전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 미르·K스포츠 재단 문제가 지면화되고, 그 과정에서 비선실세라고 하는 이들을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하는 등의 문제를 겪으면서 나의 순진했던 믿음이 배신감마저 느낀다. 해당 문제가 지금과 같이 다뤄지기 한참 전인 15년 11월 [한국경제]에 실린 '이런데도 법인세를 올리자고?'라는 제목의 칼럼은, 우리가 무엇을 믿고/안 믿고의 판단 시비를 불식시킬만큼 '안 봐도 비디오' 수준의 현 작태를 소개했다.


 '재단법인 미르'라고 들어봤는지 모르겠다. 지난달 문을 연 문화재단이다. 엔터테인먼트 중심의 한류를 넘어 음식과 의류, 라이프 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겠다며 정부가 주도해 세운 조직이다. 당연히 정부 재정이 투입됐어야 하는 일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등 16개 기업이 486억원을 출연했다. 기업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문화융성정책에 화답한 결과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과연 그럴까. 몇몇 기업에 물었다. 미르에 왜 돈을 냈냐고. 답은 "내라니까 냈다"였다. 누가 내라고 했느냐고 다시 물었다. "다 아시면서"라는 꼬리 없는 답이 돌아왔을 뿐이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11880821


 이게 '기업하기 좋은 나라'라고 줄창 주장하는 국가의 면모다. 물론 그렇다고 해당 사안에서 기업이 피해 신분에 머물 수는 없다. '내라니까 내야' 하는 기업의 사정 또한 '다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