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한 이름들이 아니어서 누구누구라조 정확한 인칭으로는 이야기하지 못하겠다. 어쨌든 이 영화는 독일 의식을 구성하는 사고, '독재'를 다룬다. 편의상 선생이라고 부를 인물은 독재라는 주제의 수업을 원치 않게 맡게 된다. 독재란 무엇인가? 독재란 어떻게 가능한가? 독재란 사고는 어떠한 것인가? 등등이 수업에서 다루어지고, 열기를 보이며 참여하는 학생들의 태도에 선생 역시 고조되며 수업을 이끌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수업과 일상은 흐릿해져 가고, 과제의 이름이었던 '디 벨레'는 하나의 서클처럼 사회와의 담을 허물고 통합된 차원으로 나아간다. 영화는 중간에 묻는다. 지금 정말 독일에서 다시금 독재가 불가능한가? 흥미롭게도 영화는 독재에 대한 이중적인 노출을 보여준다. 하나는 당연히 고도로 조직화된 집단을 보여준다. 그런데 또 하나 출현하는 독재는 흥미롭게도 독재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독재이다. 영화 중반을 넘어서면 선생은 그저 죽은, 바로 그 죽었다는 것 자체로 영원한 상징인 디 벨레로 존재한다. 학생들 스스로 디 벨레를 조직하며 확장하는 autokratie, 즉 자기의식화를 거치기 때문이다. 그런 선생이 모두를 강당에 모아 연단에 올라서 스스로를 죽음으로 폐위하면서 선생은 독재를 해제하는 독재를 자임한다. 이 과정에서 외면받고 소외된 한 층위가 노출된다. 어떻게도 어떤 말을 구상할 수 없는, 그래서 스스로의 머리를 날려버릴 수밖에 없는, 우리가 이름 짓지 못한 그런 층을. 어떻게 보면 독재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야말로 가장 편협한 시각, 흔히 말하는 '정비되고 교육화'된 질서가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