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읽었지만 오래된 이야기여서 조금은 살려볼까 하는 생각에 다시금 들어 읽게 되었다. 거진 이야기가 초반의 중심적인 내용을 겉도는 식이기 때문에 핵심적인 초반과 그람시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추어 읽었다. 박정희 개인에 대한 초월적인 서술(빠든 까든)보다는 강압과 동의의 복합성으로 체제를 생동적으로 풀고 있어 박정희 시대 연구에서 한발 나아간 느낌을 준다. '우리가 기반한 역사에 대한 인식론' 이것이 적당한 표현이겠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기반한 역사적 상황이란 어떤 곳/것일까? 조금 다르게 마르크스이 말을 빌리자면 '하나의 유령이 한국을 떠돌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한물 지난 제주 해군기지 혹은 제주 강정마을을 주목해 본다. 지구한 양식 속에서 별다른 주목 없는 80인의 박수를 말이다. 안보와 개발에 대한 평화와 자연이란 대립의 투쟁 역사화는 어쩐지 실감되지 않는다. 허구 장치에 의한 역사적 인식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대립을 세우고 있는 양식-싸우고 투쟁하는 장면들은 필시 안보와 개발이라는 논거로 초점을 모으는 오목 거울이다. 평화는 마을이 짝을 지을 수 없는 담론이고, 자연은 너무나 오독됐다. 어차피 여기서의 자연은 환경조사와 보존적 가치라는 인본적 관점이 아닌가. 나는 그 무엇보다 '행정 절차상 하자 없는' 사실인 80인의 -조금 얼빠진 말로 슈미트에서의 '갈채'(물론 갈채는 박수라는 행동 양식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치의 의지라는 점에서 오히려 행동하는 반대급부가 주목된다)와 같은- 박수에 주목한다. 이는 [동원된 근대화]에서 말하는 "추구하는 목표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분야에 자원을 집중하고 다른 분야는 배제하는 정책이기 때문에 자원 분배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된다는 것을 의미"(66)하는 것을 경유하며 더욱 근저에 자리잡는다. "이런 점에서 지배는 민중들을 자신들이 바라는 방향으로 호명하는 방식으로 민중의 지배에 대한 태도를 구성해 가고 그들의 정체성을 규정한다."(197)


 이 사건에 대한 많은 질문이 '필요성'에 대해 묻고 있기에, 당연한 이야기로, 그것이 긍부정이든 필요성에 대한 사물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런 개발의 논리 선상에서 마을의 가치는 검토, 측정된다. 질문은 항상 집단이다. 대답은 듣는 과정의 부스러기다. 대답자가 '말을 한다는' 행위 자체가 대답이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대답은 질문자의 물음에 이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