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레즈 라캥
에밀 졸라 지음, 박이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테레즈라는 이름의 여자이야기 두번째.
시골에서 그림자처럼 유령처럼 조용히 존재감없이 몸이 약한 사촌의 동반자로 살게 길러진 테레즈..
아무 생각없이 당연히 사촌 카미유와의 결혼하고 파리로 오게된 테레즈..
로랑이라는 놈팡이 예술가를 만나게 되면서 욕망에 불타게 된다.
비극의 시작이다
아니다
비극은 테레즈라는 존재가 고모집으로 들어간 순간부터 카미유의 그림자가 되버린 순간부터 시작이었을지도 모른다.
테레즈의 비극은 스스로의 욕정을 다스리지 못해서?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꾸리지 못해서?
테레즈를 누가?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이 작품속 인물들은 모두 이기적인 존재들이다.
고모는 아들을 위해 테레즈를 아들의 장난감으로 만들었다. 까미유가 약이 먹기 싫다고 해 테레즈와 함께 먹일 정도로..
그리고 카미유가 죽은 후 자신의 노후가 걱정이 되 테레즈와 로랑을 결혼시킨다.
카미유는 테레즈를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한다
인격을 갖춘 여자가 아닌 자신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으로..
로랑 역시 여자를 사람으로 보지 않고 잠깐 데리고 노는 존재로만 여긴다. 후에는 고모가 가진 재산에 더 눈독을 들인다. 테레즈보다는 돈..
테레즈는 ... 무력한 사람이다. 무력하게 만들어진 사람이다. 테레즈의 의지가 보이는것은 로랑과 사랑?을 하는 시간. 그리고 그들의 죽음의 순간인듯 하다.
책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답답함. 짜증. 테레즈에 대한 안쓰러움 이런감정이었는데 마지막을 가면서 분노가 일었다.
테레즈가 아닌 고모에 대한 분노.
이 작품에서 힘을 누리는 사람은 고모다.
카미유의 엄마. 테레즈의 고모. 혈연적으로 어른이고 아버지가 버리고간 테레즈를 키워주고 돈을 쥐고 있는..
카미유나 테레즈는 고모없이는 살수가 없게 길러진다.
심지어 테레즈와 로랑의 결혼마저도 고모는 돈으로 만들어낸다. 유산을 주겠다는 말로..
왜 테레즈와 로랑이 그것들을 거부하면 되지 않지? 도망이라도 가지 왜? 라고 말할수도 있지만 이미 누군가에 의해 철저하게 무력화되버린 사람이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란 어렵다고 본다. 특히 여자라면 더 그러지 않을까 이 험한 세상에 어떻게 이곳을 떠나 살지.. 그래도 여기 있으면 밥은 먹고 편히 잠은 자는데..
살인이라는 큰죄를 저질러도 떠나지 못하는 것을 돈에 대한 욕심일수도 있지만 이 무력감일수도 있다. 다른 세상에 대한 불안감도..
떠날수도 없고 책을 통해 죄책감과 두려움을 알게된 테레즈는 고모를 통해 속죄하려하지만 이 역시 로랑에 의해 방해된다
너만 속죄하려하느냐..
결국 이들을 죽인건 서로에 대한 불신이다. 혹시 먼저 고발하지 않을까하는..
물론 이들 뒤에는 카미유의 죽음을 알고서 반신불수가 된 고모가 버티고 있다.
나는 너희들이 한 짓을 알고 있어..
자신이 테레즈에게 한 짓에 대해서는 아무런 감흥도 없이..
고모앞에서 자살을 선택하고 쓰러져 있는 두사람위에서 내려다 보는 그 늙은 노인네의 얼굴이 섬찟하다.
졸라의 작품은 주인공들의 비극에 대해 동정심이 들지 않게 한다.
나나도 그랬고 인간짐승도..
이 작품은 초기의 것이라 그런지
테레즈에 대해 동정의 여지가 보인다.
나는 고모에 대한 분노로 쌓여있지만...
현재 우리의 상황이 생각나 그럴수도 있다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제도적으로 심리적으로 무력하게 만들어 놓은 우리들의 권력 누리는 양반들. 이 들 한가운데는 라캥부인같은 버티고 있다.
우리들의 머리 위에서 내려다보고 있을 그 양반이 오버랩 된다.
징글징글할 정도로 자신만을 보는 그 양반.
라캥부인이 테레즈 어렸을때부터 했던 조용히해라. 조용히 해라.. 이말이 지금 세월호안에 잠겨있는 아이들. 엊그제 영결식에서 추위에 떨고 있던 그 아이들이 연상되는건 나의 오지랖은 아니겠지....
이들처럼 죽음만이 이 상황을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겠지..
제발 아니어야 한다. 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