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찍은 마을길. 그리고 당산나무.

마을은 익숙해서 더 잘 보일것 같지만
자세히 오래 보지 않으면 더 안보인다.

마을찍기가 더 어렵다
익숙함속에 새로운 어떤걸 찾아내야한다
반짝거림도
섣불리 마을사진 찍는다고 덤비는건
정말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정말 생각보다 쉽지 않다




아래의 두 사진이 올 초 당산제모습


댓글(7)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5-05-21 17: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사진에 있는 돌침대에 눕고 싶어요. 그늘이 있어서 시원할거예요. ^^

지금행복하자 2015-05-21 17:42   좋아요 0 | URL
제사지내는 곳이라서 돌침대로는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어요 ㅎㅎ
정월 대보름에 당산제 크게 지내거든요 ㅎ

cyrus 2015-05-21 17:43   좋아요 0 | URL
헐! 제사 지내는 곳이었군요. 뭣도 모르고 누웠다간 지나가는 어르신들한테 욕 한 바가지 제대로 먹었을거예요... ^^;;

곰곰생각하는발 2015-05-21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럼.. 당산나무에서 제사 지내는 게 당산제`인가요 ?
궁금해서 찾아보니 당산나무가 나무 이름이 아니라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셔 제사를 지내 주는 나무. - 요뜻이네요...

지금행복하자 2015-05-21 18:10   좋아요 0 | URL
네. 마을을 지켜주는 나무에요. 개발되면서 당산나무들이 많이 잘려나가는데 저희 마을은 할머니 당산. 할아버지 당산나무 이렇게 남아있어요. 물론 훼손 된곳도 있지만요..
해마다 제사지내면서 한해의 평안함을 기원하고 있어요. 어릴때는 저런절차가 뭐가 필요할까 생각했는데 ,. 마을의 의식으로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잊혀져가는 풍습중의 하나가 되가는 것이 좀 안타까워요~~

지금행복하자 2015-05-21 18:10   좋아요 0 | URL
나무이름을 알려줬는데...제가 나무에 문외한이라 들으면서 잊어버려요~~ ㅎ

곰곰생각하는발 2015-05-21 18:18   좋아요 0 | URL
오, 그렇군요. 저는 지금까지 당산나무가 나무 이름인 줄 알았습니다...
ㅎㅎㅎㅎ. 당산제 참 근사한 풍습입니다.
저도 가끔 오래된 나무를 보면 경외심이 들더군요.
티븨에서 1000년 된 나무를 본 적 있는데.. 아, 그 아득함에... 정신줄 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