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개의 세계 - 급변하는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
야마구치 요헤이 지음, 권희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4년 8월
평점 :
경제, 현실에
대한 불편한 진실.
IT 사업가들은 아이디어 하나만으로 수천억의 부를 이루는데 보육 교사나
간병인 급여는 최저시급을 벗어나지 못하나. 웹 3.0, 메타버스
같은 가상현실 세계가 도래했지만 사람들은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할까. 타인과 소비의 격차가 벌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는 이해는 없다. 첨예하지만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잡하도록 분화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책은 3개의 세계를 인지하고 교차점을 만들때 그 답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자본주의
사회, 가상현실의 사회, 공화주의 사회에서.
셰어리즘은
공화주의 사회를 의미한다. 지표에서 지상 20m까지의 세계. 커뮤니티 경영, 땅에서 생산되는 무가공의 음식을 섭취하고 자연에
둘러싸인 느린 리듬으로 사는 사회. 이 사회에서 삶을 좋게 하려면 지역 사람들과 관계성을 깊게 하거나
작은 공헌 활동,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소비하며 맛있는 식생활을 해야 한다.
캐피탈리즘, 자본주의 사회. 지상 20m에서 지상 200m 까지의 세상. 도시에서 오피스 워크를 하거나 대규모 가공 인프라에 관여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자산가는 돈을 벌고 노동자는 일만하며 격차가 벌어지는 사회다. 이
사회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하고 가치를 낼 것인가 보다 계급에 따라 소득이 결정된다. 여기서 행복 하려면
계급을 올려야 한다.
버추얼리즘, 가상현실의 사회. 지상 200m 이상의 세상. 국경도 국적도 없는 세상이며 네트워크로 연결된
평등한 사회이다. 신기술과 현실 세계의 체계를 구축해가는 이상의 사회로 구분된다.
독자적으로 구분되는 3개의 사회에선 돈의 규정도 틀리다. 셰어는 시간, 신뢰, 관계. 캐피털은
일과 자산, 돈. 버추얼은 팔로우 수, 영향력 있는 콘텐츠다. 사회는 수명을 다하고 있으며 성장은 멈추고
경제는 도태되고 있다. 민주주의보다 자본주의가 대두되며 국가는 존재의 의미와 필요성을 잃고 있다. 이제는 3개 사회의 교차점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저출산, 빈부격차, 소비의
평등 등 다양한 해법이 있지만 어느 방향을 택할지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그래서 책은 그에 걸맞는 이상적인
사회를 말하고 있다. 인간관계의 기반, 존재의 의미는 셰어리즘을
토대로 사회를 기반으로 구축하고 테크놀로지를 통한 이상적인 평등의 사회는 버추얼리즘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런 사회에서 무언가를 이루고 의미를 찾고 싶다면 지각과 인지의 성숙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한다. 자신의
신체성, 창조성, 관계성,
사회성, 개성을 다듬어서 말이다. 그렇게 자신을
규정하지 않고 끊임없는 연마로 나아갈 때 자신의 꿈꿔온 이상적인 사회가 구축된다고 한다.
인생의 본질은 그 잡동사니의 창조 과정에 있고, 창조의 반작용으로서
향하는 자신이란 무엇인가를 아는 긴 여정이다. (p.247)
인생의
명확한 답은 없지만 사회적인 문제의 해결을 책은 평생교육에서 이룰 수 있다고 한다. 교육을 통해 지각을
넓히고 자연에 젖어 세상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라고 한다. 그러면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 세상은 다양한
가능성의 차원으로 보여지고 다가오게 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