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복을 비는 마음
김혜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혜진 작가의 단편 소설집을 읽었다. 이름만 들으면 바로 읽고 싶어지는 작가 군(群)이 있는데 그 중 한 명이 김헤진 작가다. 이름만으로도 기대 되는 소설가, 김혜진 작가.

[축복을 비는 마음]이라는 제목 안에 8편의 단편이 실렸는데 그 중 2편은 이미 읽어본 적 있었다. 이 소설들은 모두 '집'에 관한 에피소드들을 담고 있다. 하긴 집을 빼놓고 인간을 이야기 할 수 있을까? 그 '집'에 얽힌 사람들의 생각과 위기와 비참한 마음과, 안정을 갈구하는 욕망과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가져야 하는 자세와, 아무리 의연해지려고해도 터무니없는 가난으로 미끄러지고 마는 사회 구조를 소설에서 만나기에는 김혜진 소설이 매우 적합하다.

예전에 김혜진 작가의 [중앙역]을 읽었다. 거리의 부랑아로 살아갈 수 밖에 없었던 주인공이 강제철거반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이 집 없으면 우리는 길로 나앉아요'라고 말하는 세입자에게 냉소를 짓던 모습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다. 개발이라는 욕망의 반대편에선 강제 퇴거의 지옥을 몸소 감내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그것은 이분화되어 있지 않고, 언젠가 개발이 되겠거니 하며 온 영혼을 끌어모아 빌라를 구매하고 그것이 4년 5년이 지나 8년이 될 때까지도 아무 소식이 없어서 끝내 그 집을 포기해야만 하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길거리에 나 앉을 수 밖에 없는 만옥 같은 사람도 존재하는 것이다. (<목화맨션>)개발의 욕망도, 퇴거의 위기도 모두 감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희생양이 있다. 그것은 세입자인 순미도 마찬가지다. 안정과 부유와 내 집 마련의 꿈은 그렇게도 멀리 있다. 도무지 잡히려고 하지 않으니까.

길을 사이에 두고 집 값이 천차만별 벌어지고 그것이 마치 사람의 표식인양 차별하고 반목한다. 아이들은 그런 중에 성장하며 금맥이 어디로부터 흐르는지 말해주지 않아도 배운다.(<20세기아이>) 노인은 갈 곳이 없고, 형편이 조금 나아졌기로서니 다른 이를 독촉해 내 돈도 아닌 돈을 받아내야만 한다.(<산무동320-1>) 할머니가 손녀 딸 셋방의 크기를 늘려주기 위해 보험사기를 감행하기도 한다. (<자전거와 세계>) 손녀 딸은 그 돈을 받아들고는 익숙하지 않은 자전거를 끌고 꾸역꾸역 길고 긴 다리를 넘는다. 너무 슬펐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절대로 올라갈 수 없는 세계에 우리는 놓여있다.

부동산의 구조적인 문제를 제외하고도 '집'과 관련된 문제는 많다. 김혜진 작가는 그것을 놓치지 않고 감각적으로 잡아내는 사람이다.

인상 깊었던 작품 두 가지는 <사랑하는 미래>와 <축복을 비는 마음>이다. <사랑하는 미래>는 언뜻 보기에 사랑과 소통의 이야기인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집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혼자 일 때 너무 들어가기 싫었던 집이 동거인을 받아들였을 때 사랑의 공간이 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니 또 혼자였던 시간이 그리워 놀이터에 오래도록 앉아 있다가 들어가는 주인공, '주인'의 모습은 가족이 있지만 때로는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우리와 닮아 있다. 이 커플은 국제커플인데 서로의 언어가 유창하지 않아서 때론 답답하다. 심지어 오래 산 가족은 언어적 장벽이 없는데도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다. 나의 예상과는 달리 '주인'은 기어코 사랑을 선택하는데 '집'이라는 개념이 '가정'이라는 개념으로 드러난 유일한 소설이 아닐까 싶다. 이름이 '주인'이라는 것도 특별한 장치다. 주인된 삶을 산다는 것은 어쩌면 외로운 일 아닐까. 내 자리를 조금이라도 내어주고 불편해도 부대끼며 살 때 조금은 피곤해서 훨씬 덜 외로워지는 게 사람아닐까? 1인 가구가 유행인 시대에, 같이의 가치를 망각하기도 하는 세태에 반가운 소설이었다.

<축복을 비는 마음>은 짧고 맨 마지막에 겨우 넣었으면서 왜 표제작일까 생각했는데 읽고나니 그러므로 이 모든 소설이 작가가 '축복을 빌어주는 마음'이었다는 결론이 났다. 이 단편은 특이하게도 집에 사는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 집을 청소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청소업체 정직원(?)인 '나'와 일용직인 경옥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 노동자가 겪는 한계를 보여줌과 동시에 부당을 말하지 않았던 '나'가 직설하는 경옥을 통해 변하는 모습까지만도 좋았지만 홀로 일을 시작한 '나'가 전하는 메시지가 뭉클해 가장 좋았던 작품으로 꼽았다.

나는 누구에게 그럴 수 있을까?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해 전전긍긍하면서 불합리함을 그저 세상 탓으로 쉽게 돌리고 끙끙 앓았으면서도 타인에게 축복을 비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걸까? 어쩌면 안정을 찾지 못한 건 축복을 비는 마음이 없어서인 것은 아닐까?

리뷰를 쓰는데 눈이 온다. 지붕이 없어 슬픈 모든 곳이 얼어붙지 않았으면...

연말에 읽어보기 참 좋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