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책을 읽은 게 10년 안팎이어서 그 전부터 유명했던 작가들의 책은 안 본 게 많다. 이금이 작가님의 동화는 거의 읽은 적이 없고 처음 접한 게 청소년 소설부터였는데 나는 그 소설을 어른이 읽는 소설로 읽었고, 역사 소설로 생각했다. 이름은 [알로하, 나의 엄마들]! 그 후로 기회 닿는대로 읽었다. 이 책도 신간이 나오자마자 읽었다. 그리고 대체로 한 번 잡으면 끝까지 읽는다. 그러니까 재밌다는 이야기.
같은 반 인기남 서빈으로부터 유튜브 편집 제의를 받은 중학생 선우. 인정받는 기분과 더불어 한편 당 주어지는 문상 2만원은 달콤하기 이를데 없었다. 서빈의 무리는 서빈 포함 네 명이고 한 명이 유독 정적(?)이긴 했지만 대체로 잘 어울리는 기분이어서 선우는 공들여 편집을 한다. 날것의 그대로를 넣자니 '모범생 인싸' 분위기 서빈에게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자를 건 자르느라 시간을 많이 뺏기고 있던 선우에게 첫사랑 미호에게 연락이 온다.
코로나로 대한민국 중학생들은 모두 정상 수업이 중지된 상태. 그래도 줌으로 수업이 진행되는데 새롭게 같은 반이 된 정후가 까만 화면만 띄울 뿐 나타나지 않는다. 예비 반장이 된 선우는 평소에 쌀쌀맞은 정후였지만 괜히 마음이 쓰여 문자를 넣는다. 그리고 정후 엄마가 전화를 걸어 충격적인 이야기를 한다.
우리 모두는 편집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잘라지고 섞이고 미화된 화면들을 진실이라고 믿으며 산다. 가짜 뉴스가 판을 치고 거짓 교사가 만연한 시대. 우리는 그것을 편집이라고 부른다. 편집을 못하면 촌스럽고 편집을 안하면 무식한 것처럼 구는 그런 세상에 산다. 나를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거짓광고를 만들고 있고 잘만 만들면 돈이 된다는 허황된 생각에서 각색하고 포장하기를 그치지 않는다. 이금이 작가는 '편집'이라는 단어에 고민한 나머지 이런 재밌는 소설을 또 써내었다. (이 시점에 박수쳐도 될까)
선우의 선택은 옳았다. 선우 아버지의 선택도 옳았다. 떳떳하기 위해 증거를 내밀었다. 남들은 바보 같다고 한다. 눈 한번 질끈 감으면 될 것을 뭐하러 일을 키우냐고 한다. 하지만 선우 아빠는 가만히 있지 않았다. 내 가족에게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기로 했다. 그런 아버지를 닮아 선우도 움직인다. 어쩌면 선우가 편집을 했기 때문에 정후는 죽지 않아도 됐을지 모르겠다.
폭력은 쉽게 청소년을 죽음으로 몬다. 부모의 학대도 그렇고 학교 폭력도 마찬가지다. 억압과 체벌 속에서 아이들은 또래를 괴롭히는 것으로 희열을 느낀다. 정후는 누구에게도 도움을 청하지 못하고 자기를 그었다. 선우가 B컷을 잘라내지 않고 지워버렸다면, 선우가 그것을 묵인했더라면, 선우가 돈을 좇았더라면 정후는 죽고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