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의 달
나기라 유 지음, 정수윤 옮김 / 은행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시대에 특별히 귀한 것은 없다. 

선량한 사람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 비극도 뼛속까지 발라내진다. p.100


나는 일본 소설 알레르기가 있다. 선전하고 있는 유명 작가들의 책을 안 읽어본 건 아니지마는 특히 요즘은 여러 번 실패해서 그런지 읽기 전부터 엽기 혹은 폭력이나 광기쯤은 염두에 두고 한숨 쉬고 입장한다. 당연히 [유랑의 달] 읽기 전에도 그랬다. 지독한 민족주의자는 아니지만 나라마다 가진 색채를 무시할 수 없어서 편견을 장착한 셈이다. 그런데 놀랐다. 이 책은 등장인물을 제외하면 그냥 우리나라 소설이라고 해도 믿을 만큼 보편적인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위해서라면 짓밟혀도 되는 개인의 사생활, 그리고 황색언론.


(줄거리 생략)


이 책은 특별한 사랑 이야기임과 동시에 황색언론의 폐해를 꼬집고 있기도 하다. 후미는 로리콘이 아니었지만 그렇게 몰렸다. 여기까지는 정황상 그럴 수 있다. 아홉 살 여자아이가 두 달을 열아홉 살 대학생 집에 감금돼 있었다고 믿는 순간, 후미는 소아성애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 좋다. 그래서 복역했다. 그런데 사라사는 어떻게 됐을까? 사라사는 피해 아동이라는 이름이 덧씌워졌고, 그녀의 행보와 삶이 관심을 갖는 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게 포스팅돼 있었다. 사라사가 끔찍한 사건의 피해자라고 동정표 섞인 손가락질을 받는 동안 그 누구도 사라사의 말을 믿어주지 않았다. 후미가 자기에게 아무 짓도 안 했다고 말하면 스톡홀름 신드롬이네 뭐네 하면서 아예 믿지 않았다. 오히려 피해자인 사라사의 사진이 웹상에 떠돌아다녔다.


세상 사람들이 바라보는 혐오의 눈빛은 

피해자에게도 해당되는 것임을 알고 아연했다.

위로나 배려라는 선의의 형태로 

'상처 입은 불쌍한 여자아이'라는 도장을, 

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쾅쾅 찍어댄다. 

다들 자기가 상냥하다고 생각한다. p.84


사람을 죽이지 않았지만, 미스터리한 괴생물체나 유령이 등장하지 않지만 이 소설은 가독성이 좋다. 뒷이야기가 궁금하다. 그리고 문장이 아름답다. 번역을 잘한 건지, 작가의 원래 문체가 유려한지 너무 궁금하다. 또, 공감대가 많다. 진짜 인물 이름만 바꾸면 우리나라 소설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취업난, 아동학대, 황색언론, 상처받은 영혼 등 우리가 알고 나누어야 할 문제들이 넘쳐나는 소설이다. 많은 사람이 읽고 서로 생각을 나누면 좋겠다.

담겨있는 메타포도 좋다. 나는 사라사와 후미가 글라스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부분이 좋았다. 인간은 원래 깨지기 쉬운 유리잔이다. 그 유리잔 속에 담긴 음료는 인생이다. 깨지기는 쉽지만 얼마든지 조심할 수 있다. 그리고 글라스는 혼자보다는 둘이 좋다. 완전히 똑같지 않으면 어때, 두 사람이 마주 들 수 있는 잔이면 됐지.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정말 재밌었던 소설이다. 띠지의 표현대로 오래도록 읽힐 소설이다. 대단히 추천한다. 시대를 읽을 줄 알고, 사람의 마음을 만질 수 있는 작가라고 의심치 않는다. 다음 작품이 나오면 반드시 읽어볼 것이다. 많이 생각하고 많이 결심했던 소설 [유랑의 달] 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