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의 온도 - 얼어붙은 일상을 깨우는 매혹적인 일침
이덕무 지음, 한정주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2월
평점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은 적이 있다.
다산초당에서 나온 <시의 온도>라는 책을 읽는 순간, 이게 이덕무의 시학이네! 라고 생각했다. 시는 이렇게 쓰는 거구나.. 2000여년 전에 살았던 조선최초의 모더니스트가 2020년의 독자에게 시의 맛을 선보이고 있다.
"조선의 시를 보려거든 이덕무의 시를 보라!" -연암 박지원
조선의 시를 알리없는 조선의 후예는 몇년 전 우연히 안소영의 <책만 보는 바보>(보림)를 읽고나서 이덕무와 백탑파를 알게 되었다. 두루마리에 글을 적어 궤짝에 넣어두면 나중에 도착하는 친구가 꺼내 읽고 답글을 적어두기도 했다는 문인 네트워크 백탑파의 이야기를 보면서 얼마나 감동받았었는지. 그 책은 인물들의 일화를 바탕으로 하는 반면, 이 책은 이덕무 개인의 사색과 사상과 정신을 엿보게 한다.
엮은이 한정주는 이덕무를 좋아하는 역사평론가이자 고전연구가인데, 그가 이덕무의 시를 배치하고 시가 씌여진 배경이나 본인이 생각하는 이덕무의 시성 같은 것을 설명 글로 넣어두었다.
한시이므로 해석이 어려운데 브라운의 차분한 해석이 이덕무 시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한정주의 코멘트가 찰떡처럼 달라붙어 독자로하여금 무릎을 탁 치게 한다.
(나는 무릎을 치는대신 인덱스 스티키로 열심히 붙여두었다. 한통 다 쓰는게 아까울쏘냐!) 이덕무는 북학파 실학자이자 조선 영.정조시대 최고의 문인이다. 가난한 서얼 출신이지만 책만 보는 바보였고 보고 듣고 탐구한 모든 것을 시나 에세이로 명 문장가이다.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등과 어울렸다.
중국의 굴원을 좋아했지만 중국시를 답습하는 것을 혐오했고, 김홍도의 풍속화처럼 주변의 보잘것 없는 것들을 시로 담았다.
거짓으로 꾸미는 것을 악하다 여기고 자기 마음, 감정, 뜻, 기운, 생각, 느낌들에 집중했다고 한다. 섬세한 시선과 꼼꼼한 관찰로 아름답고 따뜻하게 세상을 바라본 이덕무.
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장하고 싶을 그런 책이었다.
게다가 나처럼 '나의 글짓기'에 지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면 좋겠다.
누구나 새로운 세계와 조우하면 이전의 나와는 다른 새로운 나를 만나게 된다.(p.284)는 말처럼,
이 책을 읽으면 이덕무의 세계를 조우하고 나의 글쓰기를 만날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