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이 이렇게 재밌기도 한가?어떨땐 서문은 제치기도 하는데 이런식이라면 본문읽기에 앞서 서문을 정독해야할지도.아마 박완서 작가니까 가능하겠지.서문만 모아놔도 정말 멋진 한권의 책이 될수 있는건.아껴서 읽겠다고 했는데 진짜 한자한자 정성스레 읽었다. 켜켜이 쌓은 추억의 일기장처럼 시대와 자기를 성찰해 그때그때 써놓은 그 서문들이 박작가의 후예들은 물론 그녀의 글을 사랑하는 모든 독자들에게 소중한 선물이됐다.많이 안다고 자부했는데 모르는 작품도 너무 많아서 찾아서 다 읽어보리라 다짐도 하고끝끝내 다 듣지못한 이야기들이 어디선가 불쑥 튀어나오길 기대하기도 했다.특히 <서있는 작가>라는 소설이 진짜 궁금한데 가정을 왜 여자만 지켜야하는가에 대한 물음으로 출발했다는 그 소설의 서문을 읽으며 최진영의 <이제야 언니에게>가 생각났다. 꼭 읽어보고 싶다.읽고 싶은 책에 치여 반드시 읽어야할 책을 지나치고 있진 않은지 반성했고, 작가가 되든지 않든지와 관계없이 내가 반드시 읽어야하는 책들이 이 안에 많구나라는 생각도 떨칠 수 없었다.작가의 마지막 책이라지만 내겐시작과 같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