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한 번 읽은 책은 절대 잊어버리지 않는다 - 10년이 지나도 잊어버리지 않는 독서법
카바사와 시온 지음, 은영미 옮김 / 나라원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어도 돌어서면 잊어버리는 이, 그러니까 읽을 때는 재미있었는데 덮고 나면 주인공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이. 바로 내 얘기다. 그건 단지 나이 탓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래서 더이상 기억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 독서와 리뷰를 시작했다. 지금은 좋아지고 있긴하지만 좀더 확실한 독서 스타일에 변화가 필요함을 느낀다.

그래서 이 책이 더 눈에 들어왔는지 모른다. [한번 읽은 책은 절대 잊어버리지 않는다]란 제목에 책. 정말일까? 그렇다면 꼭 봐야할 것만같다. 일본의 정신과 의사 카바사와 시온의 책이다. 정신과 의사가 독서권장의 책을 낸 것도 재미있지만 그 비법이 뭔지 궁금했다.

 

 

 

압도적인 인풋이 있어야 압도적인 아웃풋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 목표다. 저자는 한 달에 30권을 읽고 1년에 3권을 집필한단다. 그것도 본업인 정신과 일을 하면서 ... 이게 가능하단 말인가? 직장과 집안일하면서 한 달에 4권 보는 것도 잘하고 있다 보듬으며 어렵게 꾸역꾸역 목표대로 이끌어가는데 말이다.

여튼, 세상일이 매일같이 업데이트되는 많은 인터넷 정보의 홍수 속에 독서가 꼭 필요한지 의문을 던지는 사람들이 있다. 저자는 이를 마트의 시식상품을 맛보는 것만으로 식욕을 채울수 있는지 묻는다. 지식과 정보는 차원이 다른 이야기임을 말이다.

 

 

 

이렇게 결정화된 지식은 자기성장에 가속화를 가져다 주어 인생의 변화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이야기 한다. 이렇게 중요한 독서가 기억에 오래 남기위한 두가지 방법이 바로 '아웃풋'과 '틈새 시간'임을 강조한다.

아웃풋에서 제일 중요한 건 '책을 읽고 일주일에 3회 아웃풋하면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 그 방법은 메모나 밑줄긋기, 책 추천, 책속의 명언 감상들을 sns로 공유, 서평과 리뷰 이렇게 4가지중 3가지라도 실천 한다면 우리 뇌에 단기기억인 해마에서 장기 기억 저장소인 측두엽에 위치한 기억의 장소에 옮길 수 있다는 것이다. 책 읽고는 2가지 정도는 실천하긴 하는데 이보다 더 신중하고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책에 대한 기대나 감동, 목표설정으로 인한 긴박함에 읽게 되는 책 또한 뇌신경전달 물질을 이용해 기억력을 높일 수 있다고.

 

 

스마트폰 보는 틈새 시간도 활용을 잘해서 독서의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저자는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출퇴근 시간, 엘리베이터 기다리는 시간조차 24시간을 72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세세한 방안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심도있는 독서방법이다. 읽는 책과 연관된 책으로 릴레이식 독서를 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책을 선택하는 방법, 전자책 이용법 등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이 책은 독서를 하는 사람은 꼭 참고하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