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죽음을 입는다
올든 위커 지음, 김은령 옮김 / 부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독을 입고 다니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현실적으로 아토피와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호르몬 문제를 겪고 있는 절대다수의 여성들이 읽어야 할 책이다. 아마도 이 책을 제대로 읽었다면 해외직구로 저렴한 옷을 사는 것부터 멈추게 될 것이다. 그것은 높은 확률로 독이니까.

이 책은 산업의 발달과 그 과정에서 패션산업을 위해 얼마나 많은 화석연료가 사용되었는지 이야기해주고 그 화석연료가 어떻게 몸을 공격하는지 상세히 설명한다. 가죽을 부드럽게 만든 대가로 글로버스빌의 개울은 생명체가 사라졌고 아이들은 천식과 백혈병을 얻었다. 메리퀀트의 상징인 PVC패션의 공장에선 노동자가 간암으로 사망했다. 더 열거할 것도 없다. 우리는 이미 우리나라 반도체공장 노동자들의 사망사례를 알고 있다. 문제는 누군가를 죽고 병들게 하는 그 물질들을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이 입고 다닌다는 점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책에서 말하는 독 있는 옷 피하기>
모조품을 피할 것. 신뢰할 수 있는 회사의 옷을 입을 것. 인증라벨을 확인할 것. 가능하면 천연소재를 입을 것. 기능성소재를 피할 것. 채도가 높거나 밝은색 형광색을 피할 것. 입기 전에 무향세제로 세탁할 것. 드라이클리닝을 피할 것. 중고품을 사거나 교환할 것. 코(냄새)를 믿을 것.

나를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새 옷을 사지 않고 가지고 있는 옷을 세탁해서 입는 것이다. 이미 세탁과정을 통해, 공기 중에 독성물질이 휘발된 중고 옷이 새 옷보다 피부와 내분비기관에는 좋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이름을 다 외우기조차 힘든 다양한 독성물질은 화장품과 달리 옷의 성분표에 기재되지 않는다. 심지어 우리는 깨끗하다고 믿는 흰색 옷조차 흰색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독에 노출된다. 그리고 그 독은 제 3국에서 옷을 만드는 아이들과 여성들을 중독시키고 있다.

“이 모든 문제를 통해 내가 배운 가장 큰 교훈은 몸이 신호를 보낼 때 제대로 귀를 기울여야 했다는 겁니다.” 옷독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독 때문에 크론병을 얻었던 이 책의 사례자 재클린의 말이다.

“그 결과 응답자의 20퍼센트 이상에게 화학물질 민감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앞서 살펴본 유니폼에 반응하는 3개 항공사 승무원의 비율과도 거의 일치한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미국인의 비율과도 일치한다.”

이쯤 되면 피부과를 먹여 살리는 것이 의류산업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겠다. 공장이 있는 마을 사람들은 죽고, 공장의 직원들은 병들고, 입고 다니는 사람들도 피부병을 앓는다.

“그러니 잠가 놓은 옷장 안에 해골이 들어 있는 것도 놀랍지 않다.”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준 ‘우리는 매일 죽음을 입는다.’의 리뷰는 부키 출판사의 도서제공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3-04 0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단 신청을 하지 못해 아쉬웟는데, 리뷰를 읽고나니 이미 한 권 다 읽은 기분이 듭니다. 봄의 침묵을 읽고난 후, 느꼈던 그 감정과 흡사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