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에서의 일 년
이창래 지음, 강동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작이 궁금해지는 필력의 힘> “이전 문장에 만족하기 전에는 절대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지 못하기에.” 라고 말하는 작가, 한 문장을 열 번 스무 번씩 고쳐 쓰는 작가의 작품은 한꺼번에 읽기엔 지나치게 밀도가 높았다. 앞으로 돌아가 다시 곱씹고 싶은 욕망을 꾹꾹 누르며 결말을 향해 전진했다. 닻을 내릴 수 있었는지가 궁금했기 때문에...

📖
“내 생각에 퐁의 외모는 평범했다. 세상에 평범한 사람이 있다면 말이지만”

이 문장은 주인공의 콤플렉스를 상징한다. 항상 나는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던 주인공이 원하던 롤모델인 퐁이 가진 평범함이 부러웠던 주인공의 마음, 나는 다르다는 느낌은 무엇일까. 고등학교 때 같은 서클의 선배가 자신은 아르비노(백색증)라서 머리가 금발이고 눈이 갈색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선배는 혼혈이었는데 혼혈이라는 설명이 그 시대에는 결코 좋지 못한 취급을 받았기에 나온 변명이었다.

📖
“결국 누구에게든 매달리던 사람, 미친 듯이 달라붙던 사람은 나였다”

주인공은 혼혈인이라는 특수성(따지고 보면 현대에서는 아주 많은 인구의 특성인)인 혈맥의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그 외와 엄마를 연관 지으며 스스로 다르다고 느낀다. 부유감을 느끼는 대신 자신의 손에 닿는 모든 인간관계를 꼭 쥐고 끌려다닌다. 이야기 속의 모든 사건은 어쩌면 이 깨달음을 위해 안배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결말에 가서야 마음의 평화를 얻고 닻을 내릴 준비를 하기 때문이다.

📖
“나는 과거의 자동 구동모드로 전환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는 그 디폴트 상태의 소년, 그 디폴트 상태의 영혼이 되지 않을 것이다. 피도, 사랑도 묽어진 녀석, 자기의 머릿속에서만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녀석.”

자, 이제 주인공은 탈피를 결정하고 스스로 나아간다. 과거의 사건을 받아들이고 양분으로 삼았기에 영원히 어린아이였던 그의 영혼이 성장한 것이다. (독자로서 일단 만족)

✍️
✅한 번에 완독보다는 20-30장씩 나누어 읽으면서 서너 번 재독 하는 것이 좋은 책, 문장 하나하나에 상징적인 문화 배경이 숨어있다.

✅한번도 안볼 수는 있어도 한번 보면 전작을 찾아읽게 되는 매력이 있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해주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