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클래식 1포옹 - 하루를 껴안는 음악의 힘 1일 1클래식
클레먼시 버턴힐 지음, 이석호 옮김 / 윌북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이라는 영화에 음악이라는 주제가는)

#베토벤바이러스 나, #노다메칸타빌레 를 보았던 세대는 어느 날 갑자기. 클래식이 드레스를 입고 연주하는 사람들의 것이 아니라 내가 사랑하고 아끼는 드라마의 주인공이 되는 세상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공립학교의 음악교육에 포함된 암기대상이 아니라 감정과 이야기를 가진 특별한 존재가 되는 순간들이었죠. 드라마의 줄거리는 가물가물 하지만 아직도 기억하는 것은 바그너의 발키리의 기행이라든가, 가브리엘 포레의 파반느 였습니다. 피아졸라의 리베르탱고는 내가 가치없고 보잘 것 없는 사람이라고 느껴질 때, 극 중 캐릭터의 반전을 떠올리며 들었던 곡입니다. 그런 곡 가지고 계실까요?

글을 쓰는 사람들은 자신만의 노동요(...)리스트를 가지고 있기 마련인데 이 책을 통해서 새로운 곡을 알아갈 수 있어 좋았습니다. 낯선 곡들이 주는 새로운 체험이라는 것은 예상보다 즐거운 경험이어서 클래식이라는 단어에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께도 경험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QR을 이용하기 힘든 분들은 유투브에서 ’책슐랭가이드‘를 검색해주세요)

이 책은 클래식이 가진 정교한 구조 안에서 느끼게 되는 감정의 해소와 마음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저자 스스로가 극도로 슬프고 힘든 상황에서 음악이 주는 힘을 체험하고 쓴 책이라 더욱 특별합니다. 4월1일 애나 메러디스의 앵무조개에서 저자는 작곡가의 말을 인용합니다. <’언제나 나는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을 찾고 있다.’ 이 말에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라는 저자의 말에 그녀가 클래식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이 이것이구나 느낄 수 있었습니다. 네, 음악은 기쁨을 위한 것이죠.

9월 15일의 음악인 루이즈파렝은 그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다른 여성음악가처럼 음악가로 인정받지 못했던 그녀는 여성 동료음악가들을 위해 지치지 않고 싸운 것으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남녀동일임금체계의 확립]이라니... 파렝님 21세기도 이루지 못한 것을... 9월 15일은 그녀가 떠난 날입니다. 이처럼 단순히 음악의 분석이나 감상뿐만 아니라 잘 알려지지 않은 작곡가의 비하인드도 다루고 있어 지식도록으로서도 알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일1클래식1포옹 은 일상의 기억에 클래식이라는 경험을 덧대어주는 역할을 하는 책입니다. 매일 듣거나 보면 물론 좋겠지만 코로나 때문에 외부활동이 적은 요즘에는 8월-9월의 곡들을 추천해드립니다. 저는 아무렇게나 펼친 페이지에 9월3일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왕벌의 비행이 나와서 반가웠는데요. 신나고 활기찬 곡입니다. 아침에 아이들이 일어나지 않을 때 한번 같이 들어보세요. 그럴 때 제격이죠.

몇 안되는 인생의 클래식을 돌아볼 수 있었던 책을 통해 앞으로는 아는 곡을 더 늘려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시리즈인 #1일1클래식1기쁨 은 구매하기로 합니다.

#도서협찬 #독서 #클래식 #음악
#윌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