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 - 창작자를 위한 캐릭터 설정 가이드 문제적 심리 사전
한민.박성미.유지현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야기를 처음 쓰는 창작자를 위한 심리학 가이드 -

🪡추천하는 대상
- 글쓰기를 시작하는 사람
- 심리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

🪡가장 흥미로웠던 이야기는 엘런튜링에 대한 이야기 였습니다. #베네딕트컴버배치 주연의 영화로도 만들어진 암호분석가였던 그가 #아스퍼거증후군 이었고 #동성애 로 잡혀가고 고난을 겪었다는 부분이 있는데 여러분 그거 아세요? 정신과에서 동성애를 치료해야 하는 병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

이 책은 DSM-V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을 기준으로 캐릭터들의 성격을 특정 증상으로 분류합니다.

이 책에서는 전문가의 기준에 따라 캐릭터의 행동이 이 심리학 교과서에서 기술한 <기준선을 넘었을 때는 증상으로> <많이 넘었을 때는 병>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정신의학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의 교과서인 정신장애통계편람은 시대적요구에 따라 개정판이 나옵니다. 의사들의 회의를 거치죠. 그래서 DSM-III에서 DSM- IV로 개정될 때 바뀐 내용이 따라~

네, 여러분 동성애는 질병이 아니라 한 사람의 성격으로 미국 정신과협회가 규정하고 있습니다. 동성애가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라는 주장은 음… 한 세대전의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
예전에 다른 작법서를 리뷰 할 때, 작법서의 분류를 두 가지로 설명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1. 창작자가 쓴 작법가이드 2. 평론가나 청자의 관점에서 쓴 가이드> 죠. 이 책은 그 외의 분류에 해당합니다. #래퍼런스 입니다. 그중에서도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에 속합니다. 이 책은 심리학자가 <창작자분들은 심리학을 다룰 때 이렇게 써주세요>라고 가이드 하는 책입니다.

이 책은 작품 속의 캐릭터들을 오직 심리학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덕분에 내가 상담사나 의사가 되어 캐릭터를 보는 시각을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시청자도 아니고 작가의 입장도 아닌 래퍼런스라니 이 점은 이 책의 독특한 부분입니다.

👍이 책의 장점은 다양한 매체를 모두 섞어서 예문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작법서가 문학/영화/웹소설등 특정장르에 치우치는 것과 달리, 이 책의 작가들은 다양한 방식의 작품들을 오로지 캐릭터의 증상이나 병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모든 매체의 작가지망생이 심리학 입문서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61쪽
빙의가 되는 인물은 정신적 취햑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불안정한 영유아기 경험이나 살면서 겪은 외상적 사건의 영향일 수 있는데(후략)

79쪽
50%~75%가 남자이고 사춘기에 흔하지만. 반드시 성격장애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경계선 성격장애와 함께 많이 나타나며,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엔 희대의 사이코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215쪽
몇 년 전 특정 게시판에서 유행한 ‘완전체’라는 사회적 스킬 결여자에 대한 묘사 중 일부는 아마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을 겨냥한 것이 아닐까 싶다.

#문제적캐릭터심리사전
#심리학
#책
#독서
#bookstagram
#서평촌

@westplainsland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