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명의(아주) 짧은 역사
헨리 지 지음, 홍주연 옮김 / 까치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65 그렇다면 인간은 무엇을 남기게 될까? 지구상 생명의 지속기간을 생각하면 아무것도 남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책을 좋아하는 편이다. 사실 확인가능한 팩트를 담고 있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과학책은 내가 알고 있는 선입견을 모두 깨 부수고 새로운 세상을 보여준다.

그래서 중요하다.

우리는 모르는 것을 강제로 주입받는 시대에 살고 있고 그것에 대한 판단은 오로지 개인의 몫으로, 누구도 대신 진짜와 거짓을 구분해주지 않는다.

가짜뉴스와 유튜브, 가끔은 구독하는 인플루언서의 글에서도 거짓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을 취사선택하는 힘은 과학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아는 지구는 이 책의 예측에 의하면 얼마남지 않았다. 우리가 아는 모든 것이 몇 밀리 정도의 퇴적암층으로만 남게 된다니!

📖 241 인류가 지구에 미친 영향의 대부분은 약300년 전에 시작된 산업혁명 이후, 즉 호모 사피엔스가 석탄의 힘을 산업적 규모로 이용하게 된 이후부터 두드러졌다.

📖 241 지질학적 시간으로보면, 인간 개체수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사소한 사건에 불과하다.

비건이냐, 육식이냐의 논쟁에서 인류가 무엇을 먹는 종족인가에 대해 떠들지만 과학적인 결론은 둘다 라는 것이다. 인간은 역사내내 언제나 수렵인겸 채집인 이었다고?!?

📖 190 지구는 약10만년에 한 번씩 심한 한파를 맞게된다.

그렇다면 다음 한파는?

책 제목이 스포일러였다. 지구 생명의 역사가 생각보다 짧았던이유, 화석으로 남은 생물들의 멸종이유,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담은 알찬 책!

서평단으로제공받은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