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
내털리 제너 지음, 김나연 옮김 / 하빌리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시대, 그 중 문학은 가장 홀대받는 장르가 아닐까. 사람들은 말한다. 자기계발, 경제,부동산책은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지만 문학은 결국 허구 아니냐고. 작가들이 지어낸 이야기가 실생활에 무슨 도움이 되겠냐고 묻곤한다. 문학을 읽는 건 결국 시간 낭비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그런 이들에게 소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에서의 "제인 오스틴"이 누군지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오만과 편견' '엠마' '맨스필드 파크'로 유명한 바로 그 작가이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는 제목 그대로 제인 오스틴의 작품을 사랑하는 이들이 모여 함께 삶을 나누는 모임의 이름이다.

소설의 배경은 제인 오스틴의 고향 햄프셔주의 초턴이다. 이 곳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제인 오스틴의 고향이란 감흥은 사라진지 오래이지만 제인 오스틴의 작품을 좋아 이 곳을 찾는 관광객들엑는 성지나 다름없다. 소설은 메리 앤이 주민인 애덤에게 제인 오스틴의 저택을 묻게 되며 시작한다.

소설 속의 인물들의 상황은 그리 행복하지 못하다. 전쟁터에서 전사한 두 형을 대신해 농사를 짓는 애덤, 남편을 잃었지만 배 속에 아이를 품고 힘차게 살아가는 애덜린, 마을 사람들의 오랜 주치의 같은 존재이자 오래 전에 아내를 떠나 보낸 그레이 박사, 그리고 제인 오스틴의 자택을 지키는 프랜시스 나이트 등 각자의 아픔이 있다. 사랑 이야기를 주로 그린 문학 작품과 안 어울릴 것 같은 그들은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라는 이름으로 모여 서로의 상처를 치유받는다.

우리는 제인 오스틴을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를 주로 그린 작가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랬다. 하지만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의 저자 내털리 제너는 제인 오스틴의 작품들이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인생을 바라보는 태도 또한 알려주는지 말한다. 책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해 당당하게 살아가는 주인공을 보며 아이를 잃은 애덜린에게 다시 일어서도록 권유하고 병상에서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끝까지 작품을 쓴 제인 오스틴의 생애를 통해서 아이를 잃은 슬픔을 털어낼 수 있도록 돕는다. 그렇게 제인 오스틴의 문학 작품은 그들의 삶의 지표가 되어준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가 단지 책을 읽고 나누는 모임으로만 그친다면 의미가 없다. 책을 통해 나누는 그들은 제인 오스틴이 하나의 매개가 되어 그들을 더욱 단단하게 묶어준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를 시작하자고 제안한 애덤이 알지 못했던 가정사를 듣고 난 이후 잠시 흔들리지만 그에게는 함께 하는 그들이 있다. 책은 지식 뿐만 아니라 삶을 나누게 한다. 삶을 나누는 모임은 어느 모임보다 결속력이 강하다. <제인 오스틴 소사이어티>의 멤버들이 그랬다.

이 소설을 읽고 제인 오스틴의 작품을 찾아보지 않는 독자가 있을까? 부끄럽지만 나 역시 <오만과 편견>이외에 다른 작품을 읽지 않았다. 그래서 책 속에서 그레이 박사가 예찬한 <엠마>에 관한 대화는 다소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제인 오스틴을 더욱 사랑하게 만드는 글, 그리고 문학 작품이 문학을 나누는 행위가 얼마나 아름다운지 알게 해 주는 소설이다. 비록 코로나로 함께 모이기 힘들지만 위드코로나가 되면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 바로 이 책 속의 인물들처럼 책을 읽고 나누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