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돌 - 가부장적인 혼인제도에 도전, 가출한 천석꾼의 딸
이상영 지음 / 렛츠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방에서 바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댓돌을 밟아야 한다. 서민의 집에서의 댓돌은 낮지만 양반의 집의 댓돌은 높다. 아마 그 집의 위상을 상징하는 것이리라.그 높은 댓돌만큼 바깥과 자신들을 구분짓는 하나의 표식일 것이다.

소설 『댓돌』은 조선 시대와 일제 시대 신분이 다른 두 남녀가 신분의 격차를 뚫고 사랑을 이루게 된 현아와 강준수의 이야기다. 마을의 대지주 집안에서 넉넉하게 자란 '현아'와 현아의 집을 섬기는 '강준수'가 주인공이다.

지금도 보이지 않는 신분의 벽이 존재하지만 일제 시대의 조선에서 천석꾼의 자녀인 현아는 일반 동네 사람들에게는 넘보지 못할 넘사벽이다. 부모님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랐지만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의 애정을 독차지한 현아는 아버지 편승에게는 눈에 넣어도 안 아플 딸이며 기대치가 높다.

소설은 현아가 동네에서 강준수를 만나며 사랑하게 되며 급물살을 탄다. 성품과 능력츤 차차하고 강준수의 신분이 못마땅한 현아의 아버지는 자신의 권세를 이용해 강준수의 집안을 멀리 이사 보낸다.

일제 시대, 아직까지 남녀 관계에서 남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시대이다. 하지만 이 소설의 관계에서 중심을 잡는 이는 여성 현아이다연인 준수는 신분의 차이로 자존심이 상해 하기도 하며 관계에서도 현아에게 의지하기도 한다. . 물론 신분이 높고 자존감이 높은 여성이기에 더 적극적으로 나올 수 있을 수 있지만 소설의 배경이 일제 시대이고 자신의 모든 것을 떨치고 나오기까지 과감한 결단을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여성 현아는 시대를 뛰어넘는 여성상을 보여준다.

다만 표지에 설명된 대로 결혼풍속에 도전한 제2의 나혜석과 같은 주인공이라고 현아를 묘사하기에는 부족하지 않을까 싶다. 소설의 '현아'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고자 자신의 모든 걸 포기하고 연인 준수를 택했다. 물론 강준수를 격려하며 자리를 잡게 하는 면이 있지만 자신보다 연인 강준수를 내조하는 데 더욱 큰 정성을 쏟는 듯 보인다. 반면 나혜석은 그야말로 인형이 되기를 거부하고 여성의 정조 못지 않게 남성의 정조도 지켜져야 할 것을 주장하는 등 시대를 뛰어넘는 여성이었다. 물론 신분을 박차고 나와 사랑을 쟁취하는 것도 쉽지 않지만 나혜석의 정신과 삶을 비교할 수는 없다.

만약 여성 현아와 연인 준수의 신분이 바뀌었다면 어땠을까. 그렇다면 결국 조선시대 신데렐라 이야기로밖에 되지 못했을 것이다. 소설 『댓돌』은 신데렐라가 되기를 거부한 여성 현아를 통해 시대를 뛰어넘는 파격성을 보여준다.

소설 『댓돌』에서 나혜석과 같은 진취적인 여성을 보기 원했다. 하지만 여성 현아의 진취성이 사랑에 머무르는 듯 해 아쉽다. 그럼에도 그 시대에는 사랑 하나 지키기에도 힘들었을 배경을 생각하면 현아의 진취성이 떨어진다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된 듯하다. 다만 현아가 사랑과 자신의 일도 함께 성공하는 걸 더 중점적으로 보여주었더라면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