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ㅣ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1
아니 에르노 지음, 김선희 옮김 / 열림원 / 2021년 7월
평점 :
늙는다는 것. 그것은 내려놓는 것이다.
혈기왕성한 체력, 지성, 아름다운 미모 등 나이가 들어가며 우리는 내려놓는 것을 배운다. 하나씩 내려놓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다. 하나 둘씩 내려놓는 과정은 잃어가는 본인도 고통스럽지만 지켜보는 보호자에게도 쉽지 않다. 포기하는 것들 중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게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 자신의 모든 기억을 잃어가는 '치매'가 아닐까. 자신이 누구인지 모른다는 것. 그것이야말로 가장 힘든 내려놓음이 아닐까.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는 작가가 어머니의 치매를 지켜보며 써내려간 자전적 에세이이자 소설이다.
'자신이 체험하지 않는 일을 허구로 쓰지 않는다는 작가는 에세이와 소설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신의 이야기를 써내려간다.
이제는 모든 것이 뒤바뀌엇다.
어머니가 나의 어린 딸이 된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녀의 어머니가 될 수는 없다.
이 문구 앞에 얼마전 화자가 되었던 공익 광고를 생각한다.
"엄마의 엄마가 되었습니다"
이 강렬한 카피는 치매의 모든 걸 설명한다. 모든 병 중에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급격하게 역전되는 관계. 부모는 자녀가 되고 자녀는 부모가 되어 아이처럼 모든 걸 돌보아주어야만 한다. 처음에는 부분적인 돌봄이 전인격적인 돌봄으로 바뀐다. 하지만 우리가 광고에서 보았던 "엄마의 엄마가 되었습니다"라는 문구처럼 우리가 부모의 엄마가 될 수 있을까? 저자 아니 에르노는 엄마의 어머니가 될 수는 없다고 말한다. 엄마의 엄마가 된다고 하지만 과연 우리는 엄마처럼 해 낼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우리는 부모처럼 우리의 부모님을 돌볼 수 없다. 그러기에 저자가 그녀의 어머니가 될 수가 없다고 했듯 우리는 우리의 어머니가 될 수는 없다는 말은 사실이다.
어머니를 이 지경으로 몰아넣은 사람이 바로 나인 것만 같다.
어머니의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어머니의 거처도 바뀌어져간다. 집에서 병원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요양원으로 하나씩 마지막을 준비하는 곳으로 자리를 옮긴다. 악화되 가는 어머니의 상태를 바라보며 저자는 깊은 죄책감에 휩싸인다. 과연 그 죄책감에 자유롭지 않은 자녀가 얼마나 있을까. 병마에 시달리는 부모의 모습을 바라보는 자녀의 심정 중 가장 큰 감정은 바로 '죄책감'일 것이다.
저자의 '죄책감' 감정을 바라보며 나는 내가 엄마에게 가지는 감정을 돌이켜본다.
저자의 어머니처럼 '치매'는 아니지만 나의 엄마도 불치의 병을 앓고 계신다. 엄마의 병명을 의사에게 확진받았을 때 나와 오빠 그리고 동생이 느꼈던 감정은 바로 '죄책감'이라는 한 단어였다.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엄마의 상태를 잘 몰랐다는 것. 그리고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다는 사실. 결국 우리가 엄마를 이렇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우리를 내내 힘들게했다.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사실이 우리를 무력하게 만들었고 그럼에도 살아야 하고 사회 생활을 해야 한다는 사실은 더 큰 죄책감을 일으켰다. 살아간다는 것만으로, 엄마의 상태가 악화될수록 죄책감은 커져갔다.
자주 내려가던 부모님 방문도 바빠지며 뜸해져가고 가끔씩 엄마를 뵐 때마다 힘들어하는 엄마의 모습을 보는 것 자체도 고통이었다. 엄마의 모습을 바라보며 엄마의 고통을 바라만 보며 내가 느낄 수 없다는 건 나를 깊은 죄책감에 빠뜨렸다.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에서도 저자 또한 그런 죄책감에 자유로울 수 없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느니 미쳐서라도 살아 있기를 바랐다.
엄마의 병 확진 후, 엄마의 몸 상태를 알리는 게 우리들의 큰 숙제였다.
아빠는 차마 그 역할을 하지 못하셨고 오빠는 스스로 이 숙제를 떠맡았다.
오빠는 울면서 엄마의 병명을 알렸고 엄마에게 간절히 부탁했다.
제발 10년만이라도 살아달라고. 힘들겠지만 살아달라고. 절대 포기하지 말아달라고.
다혈질인 성격과 달리 마음도 여리고 겁도 많은 엄마가 쉽게 자포자기할까 무서운 오빠의 간절한 몸부림이었다. 나는 저자의 미쳐서라도 살아 있기를 바란 저자의 글이 오빠가 엄마를 향한 울부짖음이 겹친다. 어떤 모습으로라든 우리 곁에 존재하기만을 바라는 마음. 그 처절한 마음이 그대로 전달된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이 문장은 저자의 어머니가 생전 마지막으로 쓴 글이었다.
밤... 그건 아마 인생의 암흑을 말하는 게 아닐까. 하나씩 내려놓으며 조금씩 어둠은 짙어진다.
여름이 지나고 겨울이 되면 밤이 길어지듯 병마는 깊고 긴 어둠으로 인도한다. 그럼에도 저자의 어머니가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라고 쓴 건 힘듬에도 그 밤을 껴안고 끝까지 살아내겠다는 몸부림처럼 들린다.
엄마 또한 나에게 말씀하신다.
"너희는 내가 이렇게 살아있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아냐. 너희를 위해서 살아간다."
살아있다는 건 하루를 또한 고통 속에 보내야 한다는 뜻이다. 또 다른 고통이 기다리고 있고 감내해야 하고 더 악화되는 자신을 마주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어머니가 그러셨던 것처럼 나의 엄마도 나를 위해 그리고 가족을 위해 자신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힘들지만 밤을 껴안으며 어둠을 통과해간다.
책을 읽으며 내내 후회했다. 왜 나는 이 책을 읽었을까. 비록 저자와 똑같은 상황은 아니지만 편찮으신 엄마를 지켜 보는 자녀의 입장으로 저자와 비슷한 감정 기복을 느끼며 저자의 어머니 모습 속에 나의 엄마 모습을 비추어보곤 했다. 읽는 동안 결코 쉽지 않았던 소설이였다.
이 책에서 가장 큰 울림을 꼽느라면 단연 제목이자 저자의 어머니가 쓴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이다. 나는 저자의 어머니의 마지막 문장에 엄마의 살아있음의 의미를 비로소 깨닫는다. 그리고 이 문장 속에 엄마의 두려움을 조금이라도 알아간다. 밤을 떠나지 않는 엄마가 유난히 보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