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전의 주인공 - 굿의 마지막 거리에서 만난 사회적 약자들
황루시 지음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로부터 굿은 방법이 없을 때 찾는 동아줄과 같은 역할을 했다. 절실함에 무당을 찾고 무당의 굿판 뒤에서 열심히 빌던 모습을 종종 드라마에서 볼 수 있다. 이 굿이 사회적 약자를 대변한다고 하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 과거 억울하게 죽은 귀신들이 사회적 약자였다는 사실을, 그리고 굿에 나타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조명하는 새로운 책이 출간되었다. 바로 『뒷전의 주인공』이다.

『뒷전의 주인공』의 저자 황루시씨는 민속학자이자 가톨릭관동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무당굿놀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만큼 굿과 무당 등 무속 문화의 전문가이다.

"뒷전"이란 무엇일까. "뒷전"이란 무당굿의 맨 마지막 제차로 굿에 따라든 잡귀잡신을 물리는 절차이다.

가장 마지막 순서에 하는 순서로 하찮은 잡귀들을 결코 하찮지 않게 대접하는 것이다.

민속학자 황루시씨는 '뒷전'의 잡귀들이 주로 어떤 존재들인지에 대해 강조한다. 왜 하찮은 잡귀들인가?

바로 그들은 장애인, 불행한 민초들, 여성 등 사회적 약자로 험한 죽음으로 생애를 마감한 잡귀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뒷전은 그들의 아픔을 달래주며 풀어 주려는 의식이다. 무당은 그래서 이 뒷전이 중요하게 여긴다.


하릴없이 죽어 버려 본인의 힘으로는 도저히 풀 수 없기에 그 한은 더욱이나 깊고 아플 것이다.

이들의 한을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풀어 주려는 것이 바로 뒷전이다.


뒷전은 지역마다 여러 이름으로 불리우고 하는 방식도 다르다. 황해도의 마당굿, 평안도의 뜰덩굿, 전라도의 중천맥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니 만큼 하는 방식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

저자는 서울의 국사당, 황해도의 고 김금화님을 기리는 진오기굿 , 수용포의 수망굿등을 다니며 굿이 어떠한 형태로 잡귀들을 달래는지 소개해준다.

오직 무당의 구전과 체험으로 익힌 굿을 전승하는만큼 저자는 굿에서 부르는 무가를 통해 뒷전에 나오는 인물들의 의미를 해석한다. 가장 많이 나오는 시각장애인들, 아이를 낳고 죽는 해산모들, 다리나 팔을 못 쓰는장애인들, 꼽추 등 옛날에는 인간 취급도 받지 못했던 아픈 존재들이다. 사는 것도 쉽지 않았으니만큼 죽음 또한 억울한 사연이 많았다. 그들의 사연을 들어주고 달래주는 것. 그것이 바로 뒷전이다.

무당의 연극으로 그들의 삶을 재현해내고 달래나가는 뒷전. 그들이 부르는 무가와 연기를 통해 저자는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보는 새로운 시선을 독자들에게 엿보인다. 단순한 동작이 아닌 그들의 사연을 통해 어떤 억울함이 있었는지 아픔이 자리잡고 있었는지를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의미를 담당하고 있었다.

『뒷전의 주인공』은 결국 과거 사회의 아픈 자리들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말할 수 있겠다. 죽음마저 잊혀져 그들의 삶을 알 수 없는 이들의 사연이 굿의 뒷전을 통해 재현된다. 그 연기 속에 죽은 자와 산 자가 화해하는 뒷전. 산 자와 죽은 자의 공생을 꿈꾸는 무속 신앙의 참 면모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