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아리랑 1
정찬주 지음 / 다연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18 민주화운동이 벌써 40주년을 넘었다. 하지만 어느 정권도 전두환을 심판하지 못했고 피해자인 광주 시민들의 한은 겹겹이 쌓여간다. 피해자들의 증언은 그의 만행을 고발하지만 가해자들은 모르쇠로 자신의 범행을 부인한다. 5.18을 기념한 수 많은 책들이 출간되고 새로운 회고록들이 출간된다. 올해 출간된 《광주아리랑 1,2》는 광주 시민들의 모습을 그려주며 잊히지 않는 광주 시민들의 설움을 위로해준다.


《광주아리랑 1,2》는 1980년 5월 14일부터 27일까지 광주시민들의 긴박한 14일을 그린 소설이다. 두 권의 책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의 저자 정찬주씨는 자신이 5.18의 간접 경험자임을 고백한다. 소설 속 인물 중의 한 명인 박효선씨의 친구인 저자는 친구인 박효선씨가 세상을 떠나면서까지 혼자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을 안고 떠나간 친구를 보며 항상 부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 친구가 떠난 지 많은 시간이 지나고 더 늦기 전에 이 민주항쟁을 다음 세대들에게 알게 하기 위한 책무로 《광주아리랑》을 집필했다.

《광주아리랑 1,2》에서는 주인공이 없다. 아니 이 책에 나오는 모든 인물들이 주인공이다. 시위를 주도했던 전남대,조선대생은 물론, 녹두서점 김상집, 여고생 박금희, 전남대 학생과장 서명원, 연극하기 위해 교사를 사직한 박효선 등 이 민주항쟁을 겪고 끝까지 함께 한 모두가 이 책의 주인공이다. 구두닦이부터 식당 종업원이였던 김현채는 물론 신부님, 스님 등 광주 시민들의 투쟁을 어느 하나 치우치지 않고 14일의 투쟁을 써내려간다.


1권의 첫 번째 이야기는 "전두환은 물러가라"며 시위하는 대학생들의 모습이 소개된다. 민주화를 꿈꾸는 대학생들의 모습과 함께 소박한 광주 시민들의 모습을 소개해준다. 공장에 다니다가 해고당한 나명관, 가난한 집안 형편으로 어린 나이에 서울로 올라가 여러 직업을 전진하던 김현채, 신문사 보급총부 안상섭, 연극배우 박효선 등등 그들의 소탈한 일상이 소개된다. 부귀영화보다 내 자식이 잘 되길 바라거나 부모님을 도왔던 그들의 일상과 광주시민을 진압하기 위한 공수부대의 충정훈련을 교차해서 보여주며 이야기는 긴장감을 고조한다. 하루 하루의 삶을 살아가는 그들을 빨갱이로 세뇌시키며 그들의 충성심을 북돋는 군인들의 진압 작전 훈련과 포상금 제공 하는 등 충성을 요구하는 군인들의 모습은 쇼를 위해 며칠 동안 사자들을 굶겨 극도의 허기를 느끼게 한 후 처형일에 사자를 풀어 놓아 사자들이 마음껏 죄수들을 짓밟을 수 있도록 한 고대 로마를 떠올리게 한다.


마침내 공수 부대가 쳐들어오고 국민을 보호해야 할 군인들의 무차별적인 구타가 이어진다. 사나운 맹수가 먹이감을 찾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 진압봉으로 대검으로 사정 봐주지 않으며 구타하는 군인들은 "너희들 때문에 힘든 훈련을 계속 받았어"라며 자신들이 받은 고된 훈련이 오로지 광주를 완전히 굴복시키기 위한 작전이었음을 확인시켜준다. 공포와 두려움에 사로잡혔던 광주 시민들이 차츰 분개하며 일어나 시민군을 꾸려가며 본격적인시민군의 모습이 2권으로 이어진다.


정치와 관계없이 내 가족과 행복하게 살아가길 원하던 각각의 인물들이 시민군으로 합류하며 죽음을 각오하며 싸울 걸 다짐하지만 인간이기에 그들의 두려움과 외로움을 보여주며 이 소설은 슬픔을 배가시킨다. 그들 안에서 내분도 있고 점점 다가오는 결전의 날이 다가올수록 떠나가는 이들을 바라보며 두려워한다. 사랑하는 여인과의 결혼을 하며 후를 기약하는 그들의 모습을 저자는 담담하게 그려낸다. 시민군의 외로움이 대형 스피커에 울러퍼지는 박영순씨의 울먹이는 목소리와 겹쳐 더욱 큰 외로움을 발산한다.


광주시민 여러분, 지금 계엄군이 도청으로 쳐들어오고 있습니다.

어서 도청으로 오셔서 우리 형제자매들을 살려주세요.

사랑하는 우리 엄마 아빠 형제들이

계엄군의 총칼에 죽어가고 있습니다.

시민들이 나오셔서 학생들을 살려주세요.


《광주아리랑 1,2》의 초반 광주에서 있던 횃불시위 속에 2016년의 촛불 혁명을 생각하게 한다. 광주에서 횃불을 들던 1980년대와 2016년 촛불 또는 스마트폰의 불빛을 들고 박근혜 퇴진을 외치며 광장으로 나온 촛불 집회를 연상케 한다. 그리고 비록 5.18 민주항쟁은 철저히 짓밟혔지만 이 항쟁이 씨앗이 되어 2016년 비로소 결실을 거두었음을 알게 한다. 한명의 승리가 아닌 모두의 승리였듯 민주항쟁 또한 모든 광주시민의 항쟁이었다.


저자는 소설이지만 이 항쟁을 미사여구가 없이 사실 그대로 서술하는 데 집중한다. 용감하게 싸운 시민들의 모습도 그려내지만 차마 용기내지 못하고 나서지 못한 인물들의 모습도 그려낸다. 과도한 감정과잉이 없이 사실 그대로 이야기한다. 그러하기에 이 소설은 더 큰 슬픔으로 다가온다. 읽는 동안 가슴이 아파서 몇 번씩 읽기를 멈추고 먼 산을 바라보았다. 매년 수많은 5.18 관련 책들이 출간되고 일부 사람들은 무덤덤해한다. 40년이 넘는 세월 속에 가해자들은 빨리 시간이 지나가서 사람들이 제 풀에 지쳐 포기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피해자들에게 각인 된 이 고통은 매년 새롭게 되새김질된다. 그러하기에 우리는 더 많이 말하고 더 많이 분노해야 한다. 더 잊지 말아야 한다. 《광주아리랑》 은 우리에게 이 진실을 계속 되새김질 해 줄 것이다. 그리고 산 자의 시선에서 멈춘 이 소설의 마지막에서 이들이 마침내 길고 긴 고통에서 벗어나 진정한 위로를 받을 수 있도록 우리는 이 소설의 후속편을 써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