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평전 - 신판
조영래 지음 / 아름다운전태일(전태일기념사업회)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970년의 전태일 분신 사건 이후로, 벌써 4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전태일 분신 사건이 우리에게 남긴 유산이 무엇인지, 그것으로 인하여 우리의 사회는 얼마나 변화했는지 논하여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긴 시간이 흐른 것이다. 역사는 전태일 사건을 이렇게 평가한다. ‘전태일 분신 사건은 한국 노동사의 분수령과 같은 것이었다.’ 이 말이 단적으로 드러내듯이, 전태일 분신 사건은 이전에 노동자들의 인권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까지도 센세이션을 일으켜 노동자들의 투쟁에 탄력을 가한 ‘작은 불씨’와도 같았다. 이에서 각종 노동 운동들이 막힌 강이 흐르듯 터져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식상한’ 역사적 상식은 잠깐 접어두고 싶다. 내가 전태일 평전을 그렇게나 감명깊게 읽었던 이유는 그 책이 전태일 사건에 대한 단순한 역사적 지식을 담고 있어서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그 책이 ‘인간’ 전태일의 삶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삶을 증언하는 바탕은 당시 불의에 항거하던 사람들의 저항 정신이다. 대표적으로 이 책을 쓴 조영래 변호사 같은 사람들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단순한 평전이 아니라 한 시대를 풍미한 ‘인간들’, 특히 ‘인간’ 전태일에 대한 기록이다.

조영래 변호사는 책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철조망, 그것은 법이다. 질서이다. 규범이며 도덕이며 훈계다.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는 억압이다. 철조망을 넘는 과정은 법과 질서의 테두리 밖으로 고독하게 추방되는 과정, 양심과 인륜을 박탈당한 비인간으로 밀려나는 과정이다. 그것은 동시에 인간으로 회복되는 과정, 어떤 법률, 질서, 도덕, 훈계로도 가로막을 수 없는 자신의 삶의 권리를 주장하는 과정이다.
 

    언뜻 보면 모순이라고 생각하기 쉬운 글귀이다. 그러나 이 짧은 글은 전태일의 삶을 간결하게 드러낸다. 전태일은 평화시장 노동자들의 참상을 직접 체험하고 눈으로 목격한 사람이다. 그는 철조망으로 상징되는 기존의 제도, 법의 억압을 뛰어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였지만 오히려 사회의 기득권층에 의해 일자리를 빼앗겨 가족을 부양할 수 없게 되는 등 ‘인간’의 삶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비참한 비인간적 경험을 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런 그였기에 그는 ‘참된 인간’이라고 불린다. 그러한 극한의 삶 속에서 좌절하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그 한(限)을 그 시대의 피억압자들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시켰기 때문이다. 시궁창에서 연꽃이 피어나는 것을 바라는 게 더 나을 정도로 그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그는 해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는 그를 벌레만도 못한 인간으로 보았다고 해도 우리는 4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를 ‘인간’으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자신을 불태운 지 41년이 지나도 그의 삶이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이유는 그가 단순히 ‘노동 운동의 영웅’이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강력한 생(生)의 의지’가 무엇인지 보여준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노동 운동의 영웅’이였다면 그는 공산주의의 몰락과 함께 대중의 뇌리에 잊혀져야만 했다. 그는 영웅이라기보다 ‘인간’이라, 현실과 이상의 틈바구니에서 끊임없는 분열을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끝에는 생의 불꽃을 활활 태우는 것으로 그 분열을 끝낸다. 그렇게 그는 ‘죽었지만 죽지 않은’ 사람이 되었다. ‘인간’ 전태일로서 사람들의 마음에 계속 남아 있는 한. 우리 사회에서 ‘인간’이 사라지지 않는 한.
 

‘진정한 인간성’이란 무엇인지에 관해, 조영래 변호사의 말을 하나 더 인용해 본다.

자아의 좁은 환상에 집착하여, 그 속에 밀폐되어 껍데기를 쌓고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아무것도 참으로 사랑할 수 없으며 아무것도 참으로 소망할 수 없다. 한 인간이 그의 인간성을 풍부하게 하는 과정은 그 좁은 자아의 환상을 버리고, 그 껍데기를 깨고, 자신과 이웃과 세계에 대한 참되고 순수한 관심의 햇살이 비치는 곳을 향하여 나오는 과정을 뜻한다. 참된 소망, 참된 사랑, 참으로 순수한 그리움만이 인간을 구원하고 풍성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 큰 부끄러움을 느끼게 했던, 전태일이 일기장에 썼다는 문구를 하나 더 인용해 본다.

과거가 불우했다고 지금 과거를 원망한다면, 불우했던 과거는 영원히 너의 영역(領域)의 사생아가 되는 것이 아니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읽으면서 마지막에는 진짜 펑펑 울었던 책입니다. 당신이 '인간'이라면 한번 쯤 읽어 보는 걸 추천합니다. 이건 노동 운동이고 뭐고를 떠나서 '인간'이라면 감동을 줄 수 밖에 없는 글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