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책을 읽는가 - 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독서를 위하여
샤를 단치 지음, 임명주 옮김 / 이루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진작에 읽었어야 할, 지적 스노브들을 위한 팩폭도서. 책을 산 게 2월 20일이었으니까 그로부터 11일만에 읽은 셈이다. 이게 진짜 대단한 건데, 나는 보통 책을 사고 읽지 않는 편이기 때문. 그나마 알라딘에서 주문한 두 권(개소리에 대하여, 왜 책을 읽는가)은 완독을 했으니 시작이 참 좋다. 그런데 매우 느린 독해 속도를 자랑하는 내 특성상 이 책에 쏟은 순수 시간은 자그마치 24시간 남짓 될 터다. (아날로그 텍스트에 친숙해지는 길이 이렇게나 어렵다.) 독서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긴 하지만, 교양도서이면서 교양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 책을 찾는 건 꽤나 힘든 일이다. (보통은 온갖 치장으로 가득 차 있고, 속은 텅 빈 경우가 허다하지 않은가) 하지만 이번에는 제대로 만난 거 같다. (역시 충동구매가 짱) 우선 번역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문장들이 평이하지 않다. 흡사 고전을 읽는 듯한 뉘앙스를 주는데, 읽었던 기표들을 다시금 곱씹게 하는 매력이 있다. 내가 철학서적을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것 때문인데, 내 비교적 느린 독서 속도에 맞추어 문장들을 하나하나 '곱씹을 수' 있기 때문. (easy come, easy go. 대류, 정독이 최고다.) 특히 불문학에 대한 지식이 좀 더 수반되면 정말로 작가와 대담하는 기분이었을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은 다른 누구보다도 '독서광'들을 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앞서 말했듯 불문학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필요하면 좋은데, 그게 뒤따르지 않으면 저자의 견해를 잠정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 그래서 프루스트와 스탕달, 플로베르와 뒤라스를 읽고 다시 작가와 대담해보고 싶은 것이다. "어이, 당신은 틀렸어요."라는 식으로. 그때가 되면 더 폭넓은 이해로 다가오겠지.



 다만 각주를 논외로 하고, '문학'과 '독서'라는 부분만 조명하고 본다고 해도(그게 가능할 지는 싶지만) 참 괜찮은 책이다. 이 책이 만약 국내 자기계발서였다면 페이지가 닳도록 독서의 장점에 관해 열거했을 것이다. (여담으로 저자 샤를 단치는 프랑스인인데, 다른 국적 내지 다른 문화권의 작가들이 논하는 '독서론'도 보고 싶었달까.) 그러나 저자는 '독서는 어느 것에도 봉사하지 않는다. 그래서 위대하다.'라고 일축한다. 독서가 미덕이 아니고, 독서를 한다고 교양인이 되지는 않는다고도 얘기한다. 심지어 책을 많이 읽어도 책 읽는 '기술'은 습득할 수 없다고까지... 하여튼 책에서 여하한 실용성을 갈구하는 작태들을 저자는 진심으로 혐오하고 있다. 이렇듯 입 발린 소리 따위는 개나 줘 버린 모습에서 '열정이 가장 뛰어난 이성'이라는 저자의 면모가 느껴진다. (열정적으로 까고 있거든.) 확실히 '실용성'이 '다수'가 되어버린 세상이다. 인본주의자를 자처하는 나로서는 이런 작가의 견해들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기도 하고. 같은 맥락에서 마지막에 민주주의의 맹점을 찌르는 부분이 참 일품이었다. 브렉시트와 트럼프의 등장을 예고하기라도 한 듯 중우정치를 신랄하게 조소하는 모습, 현대의 지적 엘리트다웠다. 21세기의 사조는 상대주의가 저물고 절대론이 대두하고 있다고 들었다. 무덤 속에서 잠 자고 있던 플라톤이 재림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한 편으로 알랭 바디우를 읽어 보고 싶다는 욕구가 차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저자의 독서가 문학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는 걸 부정할 수는 없다. 그도 그럴 것이 흔히 '책벌레'라고 하면 문학소년, 소녀들을 상상하기 쉽기 때문. 문학, 즉 문예는 (작가가 언급했듯) 예술이면서 죽음을 향한 투쟁이다. 계속 지지만, 어쨌든 싸우고 있으니까. 작품은 유구한 시간에 걸쳐 읽히니까. (이렇게 보면 정말 '문학전선'이라는 표현이 맞다.) 그런데 철학 역시 죽음을 인식하며 행해지는 끝없는 물음이라는 점에서 같은 정서를 공유하고 있지 않나. 차이가 있다면, (본문에도 나와 있듯) 철학이 분석과 지성이라면 문학은 유추와 감성의 영역이라는 거. 어쩌면 책이라는 매체는 철학보다 문학에 특화된 것인지도 모른다. 유추와 감성이라는 영역. 뭐 내 쪽은 비문학 독서를 더 선호하긴 하지만, 이 부분은 독서량을 더 늘리는 것으로 내 견해를 더 강화할 수 있겠다. 



 저자와 비슷한 맥락에서 이응준은 책 한 권으로 사람이 바뀌었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고 했지만, 이번 독서년을 성실히 임하면 뭔가 바뀌는 게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책을 한 권 읽을 때는 이치에 통달한 느낌이지만, 두 권 읽을 때는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되고, 세 권 째에는 내가 정말 모르는 것이 많았구나... 고 반성하게 된다는 말이 있다. '나는 아무 것도 모른다'는 건 변하지 않으므로, 이해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게 될 뿐.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는 투쟁을 멈추어서는 안된다... 이게 작가가 말하는 주제의식이 아닐까 한다. 그 무엇을 위한 것도 아닌 독서, 그 하등 실용적이지 않은 투쟁. 저자는 결국 독서와 애서가를 예찬하며 대단원을 마무리 짓는다. 나는 이 결론부에서 독서광 인생을 외곬으로 달려온 작가자신의 프라이드와 권위의식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권위의식은 추종자를 거느리고 싶은 욕구로도 읽을 수 있지..)



 그리고 또 하나 더 깨달은 거. 페북은 확실히 허영심 많은 자아들이 자리 잡은 플랫폼이다. 나 역시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들의 견해를 잠정적으로 수용하고만 있었다. 내가 직접 공부하고 소화해내면 될 것을. 그 성격 안 좋은 사람들 '개소리' 듣느라 참 고생 많았다. 이젠 아픈 것도 좀 괜찮아지고 있으니까.



 또 한 가지 더, 좋은 문장이 나오면 기록해두자. 적어도 그런 습관 정도는 괜찮잖아..??ㅎㅎ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7-03-05 10: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참 재미나게 읽었습니다. 일랑일랑 님이 쓰신 리뷰도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

일랑일랑 2017-03-05 11:58   좋아요 0 | URL
ㅎㅎ감사합니다. 잠자냥님이 쓰신 리뷰도 잘 읽었어요
풋풋했던 그 시절이 떠오르는~

cyrus 2017-03-07 15: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북플도 허영심 많은 자아들이 놀기 편한 곳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페북과 비교하면, 허영심을 드러내는 정도가 비교적 덜한 편입니다.

일랑일랑 2017-03-07 15:22   좋아요 1 | URL
북플 같은 경우는 독후감 올리고, 다른 좋은 책들 추천받는 느낌으로 이용하려고 합니다ㅎㅎ 아직 이용한 지는 얼마 안돼서 실상은 전자에 경도될 거 같지만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