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군대다 - 여성학적 시각에서 본 평화. 군사주의. 남성성, 청년학술 56
권인숙 지음 / 청년사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 다시 이런 분야의 연구가 나올 수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성성/들 이매진 컨텍스트 42
R. W. 코넬 지음, 안상욱.현민 옮김 / 이매진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이 분야에 관한 한 최고의 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은 왜 극단적일까 - 사회심리학자의 눈으로 본 극단주의의 실체
김태형 지음 / 을유문화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우리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 중 하나는 ‘혐오’다. 인터넷의 여성혐오부 터 세대 갈등과 지역 갈등에서 비롯한 혐오, 시리아 난민에 대한 혐오. 장애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 학벌주의 체제에서의 혐오 등 사회는 온갖 혐오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심리학자 김태형은 이런 혐오의 일면에 ‘내 생각만이 옳고 다른 생각은 틀렸다고 간주하며, 타인에게 자신의 믿음을 강요하는’ 극단주의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극단주의 개념은 현재 우리 사회의 혐오와 관련한 문제들을 심리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일종의 매스인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기존의 극단주의 연구를 되짚어 보고 그 한계를 지적하면서 한국의 맥락에 맞는 극단주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저자에 따르면 극단주의는 1)배타성, 2)광신 3)강요, 4)혐오로 구성된다. 단순히 타인을 배척하거나 자신만의 믿음을 고집하는 것만으로는 극단주의가 성립되지 않는다. 자신의 믿음을 타인에게 강요해야 하는데, 이러한 극단주의의 예시로 저자는 박사모와 일베, 안티페미니스트, 한국의 극우주의 정당 등을 든다. 또한 저자는 기존의 극단주의 연구가 양적인 측면만 강조되었을 뿐 ‘질적인 측면’이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가령 ‘판사들이 토론을 통해 보다 감정적인 판결을 내리게 되었다’와 ‘테러리즘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토론 이후 테러리즘을 더 지지하게 되었다’는 질적으로는 결코 동일하지 않지만, 기존의 집단 극단화 이론에서는 동일한 극단으로 간주된다는 것이다. 결국 ‘어떤 생각이 강해지는 것’ 자체가 ‘극단화’라면 이것은 대단히 공허하고 의미 없는 설명으로, 질적인 측면의 극단을 따져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저자는 ‘일제에 맞서 독립운동을 했던 이들이나 흑인 노예 해방운동을 했던 이들을 극단주의자라고 매도할 수는 없다’면서 자신의 주장을 보충한다.


그런데 엄밀히 따지면 저자는 심리학자라기보다는 오히려 서구의 담론을 수입하고, 특정 집단의 입맛에 맞게 재가공하는 담론업자에 가까워 보인다. 특히 그가 보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질적인 면’들의 예시는 너무나 의도적이라(이를테면 그는 자유한국당을 극단주의 집단으로 분류한다), 자신의 당파성을 합리화하는 근거로 심리학을 이용한다고 느껴질 정도다. 지면 곳곳에서 드러나는 그의 구시대적 사회인식 역시 눈에 거슬릴 정도다. 그는 “IMF 경쟁 위기로 대규모로 직장에서 쫓겨난 한국의 가장들”을 언급하면서 개인에 대한 실제적 위협과 정신적 위협이 문제라고 말하는데, 이는 결국 가부장제의 1인 생계부양자 모델이 당연하다는 걸 전제로 하는 기술이다. 실제로 IMF 위기 당시에는 실직한 남성들보다 실직한 여성들이 더 많았다. 또한 그는 "2017년의 촛불 항쟁에서도 항쟁 참여자들은 단 한 건의 범죄도 저지르지 않았다"(180p)고 서술하는데, 이는 당시 여성 시민들이 겪었던 숱한 성희롱이나 성추행을 묵인하고 배제하는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몹시 불편하다. 그는 심리학이 사회 현상을 합리화할 뿐인 어용 학문이라고 비판하지만, 따지고 들어가면 자신 역시 그러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은 것이다.


극단주의를 예방하기 위한 대한 대안으로 저자는 '공동의 목표'를 기반으로 한 '국가 공동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다양성 자체'만을 강조하는 것은 별 효과가 없다고 말한다. 나는 저자가 작금의 퀴어 퍼레이드와 같은 성소수자 운동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지 궁금하다. 그가 최소한 구시대적 반쪽짜리 진보가 아니길 바랄 뿐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압권인 것은 그가 극단주의의 요소로 배타성, 광신, 강요, 혐오를 제시하면서도 엄밀한 조작적 정의를 거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는 인지-행동주의로 위시되는 미국 심리학을 비판하는 스탠스를 취하지만, 최소한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가 없다면 그것은 양적 사회과학, 곧 심리학의 전거는 아니라는 소리다. 이로써 저자의 공신력은 전문성이 아니라 대중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을 부연하자면, 저자가 '권위주의적 성격'을 극단주의의 매개요인으로 다루면서도 그다지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최근 논란이 되었던 윾튜브나 카광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 작금의 극우 스피커들 중에는 세상을 선과 악의 이분법적 도식으로 바라보고 약자들을 경멸하는 사례들이 굉장히 많다. 진중권은 <네 무덤의 침을 뱉어라>에서 이런 파시즘적 전조를 문제삼은 바 있는데, 저자가 심리학적 개념으로서 극단주의를 다룬다면 이 부분을 깊게 다루고 넘어가는 편이 더 시의성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대중심리학 서적으로 보면 이 책은 반가울 수 있다. 기존 심리학 서적들은 사회 현상을 피상적으로 다루고, 그것을 합리화하는 쪽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그래서 답답한 마음에 심리학 책을 펼쳐본 사람들이 책을 덮고 더 답답해지는 경우도 많다. 저자는 "사회 현상이라는 고차적인 현상, 상위 현상은 심리학이 아니라 사회학적으로 설명되어야 한다"(151p)고 말하면서, 사회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서술은 자칫 '심리학적 환원주의'로 빠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책은 저자가 비록 올드한 도식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심리학을 다루면서도 나름대로 사회를 적절히 비판적으로 진단하는 책이다. 종합하면 나는 이 책을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그러나 기존 심리학 서적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는 리버럴 성향의 기성세대에게 추천한다. 자유한국당을 “극우집단”으로 꼬집는 부분에서는 나 역시 통쾌함을 느꼈기도 하고. 이런 관점에서 학문적 비판은 오히려 부차적일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희재의 청춘투쟁 - 돌직구로 승부한 슬램덩크 세대의 좌충우돌 성장기
변희재 지음 / 도전과미래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1장, 2장은 나름 자전적 요소가 들어 있어서 훈훈하게 볼만 했으나 이후 서사는 날조와 코메디로 가득하다. 변희재는 안 되는 걸 자꾸 고집하고 있는 데서 미워할 수 없는 인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