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소리에 대하여
해리 G. 프랭크퍼트 지음, 이윤 옮김 / 필로소픽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역자가 언급한 대로 영미철학 특유의 분석기법이 돋보인다. 단어의 개념을 규명해내고, 분석하고, 어떤 보편 원리로 적용하는 문제는 철학의 주요 골자 중 하나다. 개념과 보편, 이 책에서 그 소재가 되는 건 '개소리(Bullshit)'다. 그런데 읽다 보면 이 책은 논문보다는 잘 꾸며진 꽁트같다는 생각도 든다. 혹자가 말하길, '술자리에서나 할 법한 농담은 clever joke에 그치지만 그걸 각잡고 논문으로 발표하면 통찰(insight)이 된다'고 하는데, 이 책이 아마 그 적절한 예시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세상에, '개소리'를 다룬다니! 철학은 그만큼 방대한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면서 동시에 인간세상에 이토록 이로운 학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확실히 진리를 잃어버린 세대다. 팩트(fact)라는 말이 특정 정치적 견해를 공고히하는, 타자를 배제하고 동일자의 포섭을 강화하는 아전인수격 개념으로 전락해버린 세상에서 정확성(correctness)의 권위는 땅에 떨어지고 진정성(sincerely)이 주요한 가치로 부각되어버린 시대다. 교수님(김덕천)이 지적하듯 포스트모더니즘은 인간세상에 무의미에의 의지와 회의주의를 양산해냈다. 삶의 목적과 위계를 잃어버리고 부표처럼 살아가는 사람들... 그래서 개소리가 그렇게 만연한 것이겠지. 사랑의 가장 큰 적은 무관심이듯 진리의 가장 큰 적은 '개소리'라는 모토는 이렇듯 많은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시대에 주어진 철학의 역할이 단순한 지적소비에만 그친다면, 철학은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진리를 향한 믿음. 진리를 확보하는 작업은 무용한 것에만 그쳐야 하는가? 저자는 진지하고 세심한 논의를 통해 이와 같은 주장에 반박하고 철학 본유의 역할을 돌아보고 있다.
또한 이 책은 페북 스노브들을 까는 글이기도 하다. 2000년대 초반에 나온 글이라는데, 본문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아니 더 심화되었다. 일베와 나무위키의 등장으로 너도나도 '좆문가'가 되는 세상이다. 특정 견해에 공통된 의사를 펼치는 커뮤니티를 만들어내고, 성숙한 민주시민을 참칭하며 모든 사안에 오피니언을 피력하는 자들이 차고 넘친다는 말인데, 이 또한 진리의 상실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허위(falsity)보다는 가짜(phony)에 가까운 개념으로, 정확성의 확보를 상실한 사조는 끽해야 개소리 밖에 될 수 없는 무의미한 논의를 조장할 뿐이다. 한 마디로, 세상에 말들이 너무 많다. 저자는 이 모리배들을 '논문으로 조져버리는' 느낌이다. '말 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해야 한다.'를 넘어서 '정확히 알 수 없는 것은 침묵해야 한다.'는 식으로.
아는 게 많으면 겸손해지는 법. 아무리 유구한 세월이 흘러도 책을 대체할 수 있는 진리매체가 생겨날 수 없듯 정보의 범람에서 살아남는 것은 결국 '정확성'에의 믿음을 담보하는 사유일 것... 개소리의 철학이 주는 교훈은 대저 이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