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곤충도감 - 놀라운 상상력을 키워 주는 공상 과학 ㅣ 어린이 과학백과 시리즈 17
야나기다 리카오 지음, 고경옥 옮김, 마루야마 무네토시 감수 / 글송이 / 2024년 10월
평점 :


아이와 요즘 다양한 곤충들을 찾아서 잡아보고 관찰해보는 활동들을 하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잠자리나 나비 종류들이 대부분이다. 직접 잡아서 자세히 관찰해보면 생물의 신비로움 같은 것들을 느낄 때가 많다. 그런 호기심이 확장돼 관련된 영상들을 찾아보거나 책들을 찾아보게 됐다. 그러다 이 책을 보게 됐는데 곤충이 사람만큼 커진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며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이 책은 총 4가지 파트로 나눠 다양한 곤충들의 특징들을 자세히 알 수 있게 도와주고 있었다. 우리 주변에 사는 놀라운 곤충 이야기부터 의외로 우리 주변에 많은 곤충, 소름 끼치게 놀라운 곤충, 주변에서 보기 드문 놀라운 곤충으로 나눠 재미있는 곤충 이야기들이 가득했다. 곤충 이야기가 뭐 특별할 것이 있을까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읽는 내내 그 어떤 내용보다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는 것들로 가득했다.
자연스럽게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곤충들에 눈이 갔는데 개인적으로는 잠자리 이야기들이 재미있었다. 잠자리 수컷과 암컷의 모양의 차이와 함께 눈에 대한 이야기 등 다양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숨겨있었다. 또한 날개 끝의 연문이라는 검은 부분의 기능에 대해서도 알게 됐는데 날개 끝에서 무게 중심을 잡는 기능을 한다고 한다. 잠자리를 수없이 봤지만 세세한 기능들이나 모양의 차이들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는데 지식도 쌓고 재미도 있어서 아이와 같이 읽어보기 좋은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사슴벌레를 최근에 잡아서 보게 된 적이 있고 사슴벌레 애벌레의 큰턱을 실제로 보게 된 경험이 있는데 관련 내용도 흥미로웠다. 애벌레의 큰턱이 무는 힘이 생각보다 세다는 것을 경험했는데 관련 정보들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사슴벌레의 큰턱 모양이 다양한 것과 사슴벌레 암컷에 대한 이야기들 또한 흥미로운 정보였다.
곤충은 세대교체가 빠른 편인데 그래서 엄청난 진화를 되풀이 할 수 있다고 한다. 그 결과 지구에서 가장 번성한 생물은 압도적으로 곤충이라고 한다. 생물 종의 개체 수 비율을 보니 놀라웠고 그런 시각에서 곤충들을 관찰해보니 공부할 부분이 많다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 곤충들의 특징이나 기능들을 연구해보면 인간의 삶에서 배우고 응용할 부분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아이들과 같이 읽어보기 유익한 내용이 많아 좋았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