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따라쓰기 1-1 - 2024년 시행 국어 교과서 따라쓰기 (2024년 시행)
컨텐츠연구소 수(秀) 기획 / 스쿨존에듀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폰을 많이 보다보니 글씨를 쓰는 연습은 과거보다 많이 하지 못할 듯하다. 과거에는 손으로 글씨를 쓰는 활동이 굉장히 자연스러웠고 핸드폰이 없던 시대에는 대다수 활동들이 손으로 문장을 쓰는 것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과거와 비교하면 요즘 아이들은 확실히 글씨를 쓰는 횟수나 기회가 많이 드물 것 같다.

그런 것들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보면 손으로 글씨를 쓰는 활동은 뇌운동이기도 하고 글씨를 많이 쓰면 손 힘도 길러질 것이다. 손 힘이 길러지면 글씨 쓰는 습관이 더 잘 잡히게 될 것이다. 글씨를 쓰면서는 집중력도 길러지고 다양한 단어와 문장들을 쓰며 어휘력도 늘게 될 것이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엉덩이를 의자에 붙이고 가만히 앉아서 수업시간에 임해야 하는데 글씨 쓰는 연습이야말로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하기에 그런 연습들을 병행하는 것이라 볼 만하다. 이 책에 언급됐듯이 '글씨쓰기 연습'은 공부 습관을 잡는데 도움이 되며 이 책은 2024년부터 시행된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1-1(가,나), 국어활동 교과서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게 만들었다고 한다.

어른들 중에서도 연필 잡는 법이 다양한 경우가 많다. 아이들의 경우 처음 연필잡는 습관을 가지게 되는데 올바르게 연필 잡는 법부터 올바른 자세로 앉는 법, 자음과 모음의 쓰는 순서 등 기초적인 것들을 같이 볼 수 있어서 유익한 구성이다. 연필 잡는 법이나 자세 등은 처음에 자세를 잘 잡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한 번 굳어진 자세와 태도는 고치기가 쉽지 않기에 처음 연필 잡는 법을 배울 때 제대로 배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사이 사이에 재미있게 놀며 배우는 '놀이터' 코너가 있으니 쉬어가며 글씨쓰기 연습을 하면 좋다. 국어를 잘 하는 법은 최대한 많은 단어와 문장들을 접하고 그것들을 눈에 담고 입으로 말하며 직접 써보는 것이다. 자주 접하다 보면 그것들을 기억하게 되고 기억된 단어나 문장은 자신이 말할 때 또 쓸 수 있다. 국어의 경우 발음 법칙상 발음과 실제 쓰기가 다른 경우들이 종종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자신이 들어서 알고 있는 단어가 발음과 쓰기 면에서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가며 맞춤법에 맞는 글자가 어떤 것인지 확인해보는 기능도 있을 것이다. 매일 조금씩 글씨 쓰기 연습을 통해 국어 공부를 하기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출판사를 통해 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